1. 들어가며
Teradici Remote Workstation Card는 물리 머신에 장착하여 PCoIP를 통해 호스트로 접근할 수 있게 해 주는 장비이다.
Tera2 계열 제품군으로 Tera2220과 Tera2240이 있으며, 각각 지원하는 모니터의 최대 대수는 2/4대이다.
이번에 사용한 모델은 Tera2240을 탑재한 것으로, 2560×1600 해상도의 모니터를 2대까지 지원한다.
디스플레이 연결을 위한 포트로 mDP 4개를 제공하며, 기가비트 이더넷으로 연결된다.
한 가지 특기할 점은 유사 솔루션들은 드라이버를 통해 그래픽 데이터를 전송받고, 그것을 하드웨어에서 처리하여 내보내는데, Remote Workstation Card는 디스플레이 입력 단자가 그래픽카드의 출력 단자에 직접 연결된다.
따라서 소프트웨어 드라이버 기반의 솔루션들에서 보이는 어플리케이션 호환성 문제나 부하에 따른 이미징 성능 저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
2. Teradici Remote Workstation Card 설치
카드를 Dell Precision R7910에 설치하였다. PCI-E 슬롯에 장착한 뒤 케이블을 연결해 준다.
이 때 2560×1600 해상도를 지원하려면 반드시 DP 케이블을 사용해야 한다.
카드에 할당된 IP 주소를 통해 접속하면 관리자 페이지에 접근할 수 있다. 여기서 Remote Workstation Card의 설정과 세션 정보, 통계 등을 볼 수 있다.
하드웨어 장착이 완료되면 소프트웨어를 설치해주어야 한다. 나는 VMware Horizon을 통해 접속할 것이므로 먼저 Horizon Agent를 설치하고 PCoIP Host Software를 설치했다.
Host Software는 여기서 다운로드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설치가 완료되었다면 이제 외부로부터의 접속이 가능하다. 본인이 사용하는 클라이언트를 이용하여 호스트에 접속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최상의 성능을 위해서는 제로 클라이언트를 사용할 것을 권장한다.
3. 실성능 평가
그렇다면 실제 성능은 어느 정도일까? 백문이 불여일견, 직접 보도록 하자
Tera2321 제로 클라이언트를 통해 2560×1440 해상도로 Youtube 4K 60fps 동영상을 재생하는 모습이다.
Horizon Security Gateway를 통해 WAN으로 접속하였으며, Round-trip-latency는 약 10ms이다.
4. 마무리
Teradici Remote Workstation Card와 PCoIP Zero Client의 조합은 현재 사용할 수 있는 기술 중 최고의 퍼포먼스를 보여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본인이 그래픽 작업을 하며, 어디에서나 끊김없이 작업할 수 있는 환경이 필요하다면 Teradici Remote Workstation Card의 사용을 검토해 보자.
여기서는 접속을 위해 VMware Horizon을 사용하였지만, Teradici의 제품군만으로도 동일한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이 경우 라이센스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을 것이다.
님께서 링크한 데모영상 처럼 .. 되지 않습니다.
인터넷 속도가 아주 훌륭해야만 합니다.
인터넷 속도가 나쁠때는 ..
그냥 리모트 접속해서 xterm 보다 못합니다.
xterm은 접속이 느려서 커맨드 타이핑도 띄엄띄엄 되어도 작업진행이 할 수 있는 정도이지만
Teradici 으로의 연결시에는 화면이 울렁 거리고 퍼져서 . 일부 영역은 뿌였고 ...
게다가 키보드 응답이 너무 느려서 거의 움직이지도 않습니다.
이렇게 사용하려고 만든것이 아닌가 의아 했습니다.
사내망에서 네트웍 속도가 좋으면 링크 동영상처럼 잘되므로 설정등의 문제는 아닙니다.
저는 리모트로 시스템 전원 온오프및 xterm 보다 원활한 접속을 기대 했는데요.
리모트로 시스템 전원 온오프및 리모트 접속은 됩니다.
그러나 테라딕 리모트 접속 폼질이 일반 적인 리모트 터미널 접속보다 아주많이 나쁩니다.
이 솔류션의 목적이 뭔지 문의 드리고 싶습니다.
원할한 리모트 접속 과 보안보장 접속 일텐데요.
이 정도 이면 실용성이 거의 없어요..
아시는 것처럼 Tera2220과 Tera2240 의 Frame 성능차이는 없고
동시 지원 터미널 갯수 또는 최대 해상도만 차이 납니다.
Teradici 솔루션은 패킷 로스가 발생하는 환경에서 굉장히 불안정한데, 혹시 사용하신 인터넷 환경이 어떻게 되십니까?
해외에서 접속도 되는 것으로 보입니다.
연결은 ...
미국 산호세 사무실 workstation 을 한국 사무실 또는 반대로 ...
그리고 인도와 한국 사무실 사이 접속에 사용하려고
TERADICI by Dell PCoIP Remote Workstation Host Card TERA2220 과
Dell Wyse Zero Client Teradici Tera2140 512MB Ram 32MB Flash 909102-01L 으로
workstation은 redhat 7.6 OS 입니다.
redhat linux 와 window의 경우에 따라서 Host Card TERA2220 firmware 지원 버전 차이가 있어서 언급 합니다.
패킷 로스가 발생하는 환경에서 불안정 하다는 것은 ...
해외 연결 네트웍으로는 어렵다는 뜻인가요?
회사 네트웍이니 전송 속도는 일반 가정집보다 느리지만 QOS는 보장 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QOS가 보장된다는 것은 패킷 로스가 발생이 낮다는것을 의미 하는 것 같은데요...
인도 인터넷은 ... 그렇다고 쳐도
한국과 미국과의 연결이 ... Teradici 거의 사용 불가 수준 입니다.
동일한 네트웍에서 회사에선 VPN 접속이니 xterm 접속은 됩니다...
xterm 접속은 느리지만 ASCII terminal TEXT 를 읽거나
프로그램 실행등은 답답하지만 가능한 수준 입니다.
Teradici 사용 연결은 화면의 글자를 읽는 것도 어렵고
명령서 실행은 거의 불가능 수준 입니다.
키보드 반응이 xterm 접속시 반응 속도의 1/100 수준 이라서요...
GUI application 은 꿈도 못 꿉니다.
이상한 점은 리모트 머신에서 실행하고
리모트 Teradici 터미널에 화면을 보여 주므로
화면의 상태가 나쁘더라도 실행 속도는 로걸 실행 속도이어야 할 것을 기대 하지만
실행 속도도 .. 매우 느립니다.
Teradici 리모트 터미널과 인터액티브하게 동작 한다 ? 이런 느낌 입니다.
그리고 Teradici에서는 latency가 30ms 이하일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30fps 기준)
PCoIP 세션 패러매터를 적절히 튜닝하는 것으로 성능의 개선을 꾀할 수 있을 것이나.. latency가 많이 늘어지는 상황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실행 속도 건은 가능하면 이번 주말에 지연이 큰 네트워크를 에뮬레이트해서 테스트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보유 중인 시스템이 Windows라 완전히 같을지는 모르겠습니다.
조만간 네트워크 상태별로 퍼포먼스를 테스트하여 업로드할 생각입니다.
화면이 좀 뭉게지고 색감이 떨어지긴 합니다만..
반응속도나 소프트웨어 pcoip보다는 빨라 보였습니다.
vmblast는 소프트웨어 방식인지라 pc가 있어야 하긴 합니다..
PCoIP 사용자가 거의 없어서인지 ..
몇번 문의 해보았는데 ..
아무런 회신도 없어서...
국내 Teradici 사에 문의한 적도 있는데 ..
너무 많이 문의해서인지, 기본적인걸 문의해서이지 ..
회신을 한두번 하더니만 ., 그만 하더군요. ㅠㅠ
제로클라이언트에 더 나은 성능을 위한다면추가로 저걸 달아줘야 하는거였나요?
잘못 알고 있었나보군요..
일반 PC에서 제로클라이언트 성능을 내기위해 달아주는게 저 카드인줄 알고 있었는데..
아니 에초에 제로 클라이언트에 pci 슬롯이 없던거 같은데...
혼란스럽습니다 하하..
제로클라이언트는 접속 단말입니다.
그런거지요??
잠깐 해깔렸나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