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 시공 단가에 대해서

   조회 19483   추천 0    

제가 건축 그래픽은 하고 잇지만 시공쪽은 잘 몰라서 그러거든요
아는 설계사에게 물어바도 많이 숨기는거 같아서 시원시원한 이곳에 질문드려봅니다

1.  건평 50 평 1층 건물인데
2.  콘크리트 건물
3.  정면쪽만 드라이비트나 미장 스톤 코트 마감하려고
4.  내부 인테리어는 순전히 제가 할거거든요

설계사에게 물어보니 평당 300 잡아야 한다고 하는데
훨씬 가격이 저렴할거 같은데  시원시원한 답변 부탁드립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이정근 2010-02
신축시 말씀 하시는것이가요?
철근값이 막 오르기 시작하던 03년에도 60평짜리 철근콘크리트조 건물 건축하고 드라이비트 외장에, 인테리어는 종이벽지/비닐장판의 기본 컨셉으로 하는데도 평당 200 이상 들었습니다. 지금은 최소 270 정도는 들지 않을까 싶습니다.
인건비, 철근가격, 레미콘가격이 사실 건축비의 대부분인데 네고하면 설계도보다 부실한 건축물이 남게 되는것이죠.
이해하면 2010-02
헉 평당 300이면.. 비싼거 아닌가~~ 그렇게 알고 있습니다.
집짖는것도 평당 250 에서 350 요구 하는곳도 있는데.

단순히 재료비만 계산해 보시죠.. 면적 나오면 루베수 나오고 루베 나오면 레미콘 몇차 들어 갈지
나오니까.. 계산 해보셔도 될듯 합니다.
이현호K 2010-02
저희 집안 어르신께 여쭈어 봤는데,  ^^

양옥은 평당 300이면 (내부 인테리어 포함, 이사짐 옮기기만 하면 되는 수준) 적정선이시다고 하시네요.
한옥은 평당 400~500정도라고 합니다.
인테리어를 직접 하시는 거라면, 양옥 평당 300은 비싸다고 합니다. 250선이라고 하시네요.

저희 큰집도 이번에 지?산에 펜션2층으로 지었는데, 평당 300에 모두 업자에게 일임해서 처리하셨다고 하는데,
그래야 하자 보수나 전문인력 수급 등 사이드 비용이 덜 든다고 합니다.
바다늑대1 2010-02
저희집도 건축을 해봐서 어느정도 견적나오는지 압니다. 그러나 견적가격도 중요하지만 실력있는 건축업자 만나서 좋은집 짓게 만드는게 중요합니다. 그리고 손수하시는거 좋기는하나 건축하시는 분들이 하시는 말이 있습니다. 최소한 집3채는 지어야 조금 집짓는거에 대해서 안다고.. 너무 혼자하시는것도 중요하지만 많이 많이 고민하셔서 결정하시길 바랍니다.
하승협 2010-02
건물이 창고라면 비쌀수도 있겠으나 내부 벽체가 많이 들어가는 주택이라면은 비싸보이지도 않습니다. 퀄러티에 따라 다르겠지만요. 제가 설계사무실 잠시 다닐때 단독주택의 경우 평당 300정도에 집짓기를 시작하던 건축주들 대부분 결국엔 400 넘기더라구요. 건물을 평수로 계산하기 어렵습니다. 재료비, 가공비, 인건비 등 많은 변수가 존재합니다. 인테리어 직접 하신다니까 개인적인 노력 여하에 따라 좀 더 싸질수도 있겠네요. 인테리어를 수월히 하실수 있을정도의 실력이라면 시간이 허락한다면 시공도 해보시는게 어떠실런지요. 설계는 어차피 건축사가 해야하고 그 설계도서로 여기저기 물어가면서 터파기, 기초, 벽, 지붕, 창호 등... 좋은 경험이 될것같습니다. (혹은 자금을 좀 투자할걸 하는 후회가 들수도 있습니다.^^)
김문형 2010-02
드라이 비트 추천 안합니다. 시공 후 시일이 지나면 건물이 꼬재재 해지고 나중에 보수 할라 해도
짜징 지대로 나실 겁니다. 비오면 물새는 드라이 비트 . 물이 천정에서만 새는게 아닌 벽면에서도 충분히 샐
수 있습니다. 창문도 마찬 가지.
콘크리트 건물이고 내부 인테리어를 직접하실꺼면 평당 230~250 이 적정 수준입니다.

일반적으로 주택 내장은 평당 70~80 정도 잡습니다.

지금 현재 건축자재 시세로는 웬만하게 지으셔도 평당 300을 상회 할겁니다.

300 이하라면 아마도 자기가 살집 이면 눈에 차지않습니다

작년말 현장기준으로 봤을때 (일반주택용 중급) 콘크리트슬라브=320~350

목조주택=280~320 통나무주택=370~400 정도입니다.
그리고 드라이비트나 스톤코트 하지 마십시요..

1년안에 후회합니다...(제 현장경험상)

콘크리트 건물욉작업은 대리석작업이 가장좋고 그다음에 외부용 타일이나 스톤으로 마감하시는게 좋습니다

만일 스톤으로 마감하시면 필히 발수제를 발라 주셔야 하고요...

드라이비트,스톤코드,등은 저희들말로 하자덩어리 입니다.

웬만해서는 작업하지 않습니다.
조재현 2010-02
역시 대단한분들 말씀 정말 감사합니다
여기 들를때마다 정말 만만세 입니다
항상 고수들 답변 정말 너무 감사하게 생각합니다
위에 분들 다 포인트 드리고 싶지만 제가 좀 가난해서요~~
이해 바랄께요
블루모션 2010-02
작년 가을에 저도 돈좀 아낀다고 오래된 우리 단독주택외벽을 거의 혼자서 드라이비트 흉내를 냈는데 날씨가 영하 15도로 몇일씩 떨어지니 수축하면서 스티로폼 외부에 바른 세면과 핸디코트가 군데군데 덩어리로 터져나가더군요
건축은 절대 만만히 볼 작업이 아닙니다


QnA
제목Page 4065/5726
2015-12   1774557   백메가
2014-05   5249275   정은준1
2010-02   9058   오원
2010-02   7408   과거지사
2010-02   9090   psj1050
2010-02   6940   머라카는데
2010-02   12967   구형활용가
2010-02   8842   요크댁
2010-02   19484   가빠로구나
2010-02   8772   블루모션
2010-02   18065   어훕
2010-02   15128   김건우
2010-02   41483   정은준1
2010-02   9212   박종익
2010-02   6885   song05
2010-02   8266   김건우
2010-02   9059   가빠로구나
2010-02   12643   레오네
2010-02   6844   옥종석
2010-02   8170   chis
2010-02   7902   김효수
2010-02   7261   손경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