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서버 그룹 관리..(?)

shuni   
   조회 5218   추천 0    

안녕하세요

항상 질문글만 남기네요..

다름이 아니라 리눅스 개발 서버가 여러대가 있습니다.

이때 사용자가 어떤 컴퓨터를 접속하든 자신의 홈폴더 즉 작업폴더를 어느 서버에서라도 쉽게 접근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또한 인증(?) 서버를 따로 두어서

실제로 개발하는 컴퓨터가 아닌 관리용 컴퓨터를 두어 그 컴퓨터에서 계정을 만들면 그 그룹 내에 속해있는 모든 컴퓨터에서 따로 계정을 만들 필요 없이 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있습니다.

위의 기능을 NIS라고 하는것 같던데 맞나요?

정리하자면

1. 관리 서버에서 계정을 만들면 그 그룹 내에 속한 컴퓨터에서 따로 계정을 만들지 않더라도 모두 적용되는 방법이 있는지(NIS라고 하는것 같습니다.)

2. 1번이 구성되어 있다고 할때, 사용자의 작업환경을 그룹 내의 컴퓨터간에서 쉽게 가져올수 있는지
(마치 1번 컴퓨터에 접속하여 작업한 것을 2번 컴퓨터에 로그인하면 그대로 반영시킬 수 있는지)
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김황중 2014-08
윈도 액티브 디렉토리의 기능중 일부로 보이네요.

리눅슨 전공이 아니라 잘 모르겠네요.
     
성훈 2014-08
김황중님 답변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정작 세팅을 해야 하는건 리눅스지만... 윈도우의 액티브 디렉토리가 1번과 2번 기능을 모두 포함하나요? 액티브 디렉토리를 사용해 본적이 없어서 궁금합니다!
          
김황중 2014-08
일단... 그렇네요.

1. 그룹내 계정은 액티브 디렉토리를 관리하는 서버에 만들어 주면되고
    도메인 구룹에 속한 아이들은 따로 계정 필요없이
    관리서버에서 설정한 아이디로 사용하시면 됩니다.

2. 같은 도메인그룹내 서버들의 경우
  별도의 로그인 없이 공유 데이타는 연결 됩니다.
  이미 자신의 컴터 로그인시 해당 사용자의 아이디와 비번을 입력하여 로그인 하기때문에.....
윤홍준 2014-08
제가 아는 범위에서는
1. NIS
2. NFS (+ autofs)
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성훈 2014-08
윤홍준님 답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NFS의 경우 윈도우의 삼바와 같은 기능이라고만 알고 있는데, 리눅스에 로그인시 작업 폴더를 비롯하여 여러 세팅들을 그룹내 컴퓨터 간에서 공유가 가능한가요?
          
윤홍준 2014-08
home 디렉토리 아래의 각 계정 디렉토리를 마운트하면 개인이 설정한 환경 (ex. cshrc / bashrc) 도 적용됨니다.
          
회원K 2014-08
NIS에서 계정을 관리하고 (원래 HP-UX의 기능이었습니다)
NIS에서 계정이 로그인할 때 어떤 disk를 home으로 할지 지정해주면 됩니다.

계정 1 : 1번 서버의 /home/1
계정 2 : 2번 서버의 /home/2
...
공용디렉토리 : 1번 서버의 /home/data -> 모든 계정의 ./data에 연결
...

매뉴얼 보고 하시면 금방 하실 수 있습니다.
               
성훈 2014-08
혹시 이런 설정에 대한 매뉴얼이 있나요?

혹시 참고할 자료가 있다면 부탁드리겠습니다
                    
회원K 2014-08
구글링 하셔야 합니다.
http://hyi2374.tistory.com/6
                         
성훈 2014-08
감사합니다!
강승훈 2014-08
NFS 는 unix 용이구요... SMB가 ms windows 용 입니다... 그래서 linux 에서 SMB 프로토콜을 그대로 쓰는 걸 개발했는데요... SMB와 이름이 같으면 안되서 SaMBa 라고 이름을 짓게 되었죠...

Linux 에도 도메인 콘트롤러가 있을 뿐 아니라 사실은 윈도우에서 쓰는 모든건 유닉스 월드에 있던걸 카피한거죠... 옛날엔 유닉스가 엄청나게 비쌌었으니까요...

아 죄송... NFS를 쓰세요~
성훈 2014-08
답변해 주신 분들 모두모두 정말 감사합니다.

NIS와 NFS로 시도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성훈 2014-08
한가지 더 질문드려도 될까요?

NIS와 NFS를 구성하려고 하는데 그러면 NIS 와 NFS 서버는 물리서버 분리하는게 좋은가요? 아니면 같이 설정해도 무방할까요?

그리고 두 서비스를 각각 혹은 같이 돌린다고 할때 그 서버(NIS, NFS 서버)(들)은 높은 사양이 필요한가요? 높은 사양이 필요하다면  i7 920(12Gb Ram) 혹은 x5550(16Gb Ram)을 사용하려 합니다. 물론 파일 전송속도는 최대한으로 끌어올 생각이며, 기가비트 랜으로 사용할 생각입니다.

사용자는 약 20명 정도로 생각하고 있으며, 용도는 알고리즘을 검증하는 실험 시뮬레이션입니다. NIS그룹에 가입할 컴퓨터는 4대정도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어플리케이션특징으로는 큰 데이터(사진 혹은 비디오이며 큰 데이터의 경우 약 150기가정도 됩니다)를 읽어와서 알고리즘통해 결과를 도출하는 프로그램을 직접 코딩하여 수행하며, 실제 프로그램은 몇 메가단위로 매우 작습니다.

중간에 데이터를 하드디스크에 쓰는 경우는 적으며, 램을 많이 사용하는 프로그램입니다.

따라서 연산 서버의 경우 가용 메모리가 충분 (최소 64기가에서 256기가)하여 스왑은 발생하지 않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고수분들의 고견을 듣고 싶습니다.
     
윤홍준 2014-08
고수가 아니지만....

NIS 와 NFS 는 관리 하기 편하신데로 같이 두시거나 분리 하시면 됩니다.

CPU RAM 은 부담이 없으나 20명이 150기가를 동시에 read 할때를 고려하면
디스크 I/O 와 네트웤 대역폭이 충분해야 합니다.
회원K 2014-08
분리 안해도 됩니다. 별로 부담 없습니다.


QnA
제목Page 3116/5724
2015-12   1761409   백메가
2014-05   5235046   정은준1
2014-08   6400   테돌아이
2014-08   9440   Nikon
2014-08   5448   박석호
2014-08   5196   무아
2014-08   4447   뮤노
2014-08   3896   나파이강승훈
2014-08   5219   shuni
2014-08   5911   천마건빵
2014-08   3515   SpringValley
2014-08   7498   박현문
2014-08   6822   장동건2014
2014-08   11676   컴센스
2014-08   10375   개굴개굴
2014-08   4854   테돌아이
2014-08   4465   이기백
2014-08   5745   양영훈
2014-08   4022   테돌아이
2014-08   4001   테돌아이
2014-08   3706   테돌아이
2014-08   4561   윈도우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