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61409 |
25 |
2015-12
1761409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35046 |
0 |
2014-05
5235046
1 정은준1
|
52163 |
iptime DDNS 설정했는데 ㅠㅠ (11) |
테돌아이 |
2014-08 |
6400 |
0 |
2014-08
6400
1 테돌아이
|
52162 |
livecomm.exe 허용해도 되나요? 사진참조 (5) |
Nikon |
2014-08 |
9440 |
0 |
2014-08
9440
1 Nikon
|
52161 |
전동공구 구입에 관해 질문 드려요. (14) |
박석호 |
2014-08 |
5448 |
0 |
2014-08
5448
1 박석호
|
52160 |
개인회생 (5) |
무아 |
2014-08 |
5196 |
0 |
2014-08
5196
1 무아
|
52159 |
p812와 410여쭤봅니다. (4) |
뮤노 |
2014-08 |
4447 |
0 |
2014-08
4447
1 뮤노
|
52158 |
vsphere client (8) |
나파이강승훈 |
2014-08 |
3896 |
0 |
2014-08
3896
1 나파이강승훈
|
52157 |
리눅스 서버 그룹 관리..(?) (15) |
shuni |
2014-08 |
5219 |
0 |
2014-08
5219
1 shuni
|
52156 |
PC3-10600R 와 PC3L-10600R 혼용해도 되나요 (6) |
천마건빵 |
2014-08 |
5911 |
0 |
2014-08
5911
1 천마건빵
|
52155 |
미크로틱 450G 의 기능에 대해서 질문 드려 봅니다. (5) |
SpringValley |
2014-08 |
3515 |
0 |
2014-08
3515
1 SpringValley
|
52154 |
git + nas 구축. (2) |
박현문 |
2014-08 |
7498 |
0 |
2014-08
7498
1 박현문
|
52153 |
[재질문]부팅 우선 순위가 자꾸만 바뀝니다. (21) |
장동건2014 |
2014-08 |
6822 |
0 |
2014-08
6822
1 장동건2014
|
52152 |
ilo 윈도우 2012 설치시 통과 [offlineServicing] 중 무인 설정을 적용할 수 없습니… (1) |
컴센스 |
2014-08 |
11676 |
0 |
2014-08
11676
1 컴센스
|
52151 |
해석을 위한 컴퓨터 사양 추천바랍니다. (낮은 가격이요.... ㅜㅜ) (10) |
개굴개굴 |
2014-08 |
10375 |
0 |
2014-08
10375
1 개굴개굴
|
52150 |
원격지에서 XPENology 설치에 관련하여 (5) |
테돌아이 |
2014-08 |
4854 |
0 |
2014-08
4854
1 테돌아이
|
52149 |
미국에서 스마트폰 구매 (7) |
이기백 |
2014-08 |
4465 |
0 |
2014-08
4465
1 이기백
|
52148 |
미크로틱 관련 질문입니다. (6) |
양영훈 |
2014-08 |
5745 |
0 |
2014-08
5745
1 양영훈
|
52147 |
VMworkstation 내부에 ESXi 설치 (7) |
테돌아이 |
2014-08 |
4022 |
0 |
2014-08
4022
1 테돌아이
|
52146 |
ESXi 5.1에 OpenManagr Server Administrator (OMSA) 설치 성공 |
테돌아이 |
2014-08 |
4001 |
0 |
2014-08
4001
1 테돌아이
|
52145 |
ESXi 5.1에 Windows7 설치 성공 (1) |
테돌아이 |
2014-08 |
3706 |
0 |
2014-08
3706
1 테돌아이
|
52144 |
중요한 PC에 밧데리를 사용하면 전류문제에서 해방인가요? (6) |
윈도우10 |
2014-08 |
4561 |
0 |
2014-08
4561
1 윈도우10
|
리눅슨 전공이 아니라 잘 모르겠네요.
1. 그룹내 계정은 액티브 디렉토리를 관리하는 서버에 만들어 주면되고
도메인 구룹에 속한 아이들은 따로 계정 필요없이
관리서버에서 설정한 아이디로 사용하시면 됩니다.
2. 같은 도메인그룹내 서버들의 경우
별도의 로그인 없이 공유 데이타는 연결 됩니다.
이미 자신의 컴터 로그인시 해당 사용자의 아이디와 비번을 입력하여 로그인 하기때문에.....
1. NIS
2. NFS (+ autofs)
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NIS에서 계정이 로그인할 때 어떤 disk를 home으로 할지 지정해주면 됩니다.
계정 1 : 1번 서버의 /home/1
계정 2 : 2번 서버의 /home/2
...
공용디렉토리 : 1번 서버의 /home/data -> 모든 계정의 ./data에 연결
...
매뉴얼 보고 하시면 금방 하실 수 있습니다.
혹시 참고할 자료가 있다면 부탁드리겠습니다
http://hyi2374.tistory.com/6
Linux 에도 도메인 콘트롤러가 있을 뿐 아니라 사실은 윈도우에서 쓰는 모든건 유닉스 월드에 있던걸 카피한거죠... 옛날엔 유닉스가 엄청나게 비쌌었으니까요...
아 죄송... NFS를 쓰세요~
NIS와 NFS로 시도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NIS와 NFS를 구성하려고 하는데 그러면 NIS 와 NFS 서버는 물리서버 분리하는게 좋은가요? 아니면 같이 설정해도 무방할까요?
그리고 두 서비스를 각각 혹은 같이 돌린다고 할때 그 서버(NIS, NFS 서버)(들)은 높은 사양이 필요한가요? 높은 사양이 필요하다면 i7 920(12Gb Ram) 혹은 x5550(16Gb Ram)을 사용하려 합니다. 물론 파일 전송속도는 최대한으로 끌어올 생각이며, 기가비트 랜으로 사용할 생각입니다.
사용자는 약 20명 정도로 생각하고 있으며, 용도는 알고리즘을 검증하는 실험 시뮬레이션입니다. NIS그룹에 가입할 컴퓨터는 4대정도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어플리케이션특징으로는 큰 데이터(사진 혹은 비디오이며 큰 데이터의 경우 약 150기가정도 됩니다)를 읽어와서 알고리즘통해 결과를 도출하는 프로그램을 직접 코딩하여 수행하며, 실제 프로그램은 몇 메가단위로 매우 작습니다.
중간에 데이터를 하드디스크에 쓰는 경우는 적으며, 램을 많이 사용하는 프로그램입니다.
따라서 연산 서버의 경우 가용 메모리가 충분 (최소 64기가에서 256기가)하여 스왑은 발생하지 않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고수분들의 고견을 듣고 싶습니다.
NIS 와 NFS 는 관리 하기 편하신데로 같이 두시거나 분리 하시면 됩니다.
CPU RAM 은 부담이 없으나 20명이 150기가를 동시에 read 할때를 고려하면
디스크 I/O 와 네트웤 대역폭이 충분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