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네트워크 구성 질문좀 드려도 될까요?

   조회 7141   추천 0    

이사가는 집에 설치할 것 관련으로 몇일전에 NAS구성 관련하여 글을 적었습니다만...

아무래도 4k 트랜스코딩을 바라면 예산도 너무 많이 들고 해서 공유기에 DAS형식으로 꾸며볼까 합니다.

주 목적은 DLNA및 홈 네트워크 구성인데요.. 일단 집은 25평(실평수 18평정도) 구조는 다음과 같습니다.



현재 들어가는 집은 1기가비트 회선이 들어오고 홈네트워크가 구성되어 있습니다.

다만.. 홈네트워크 관련해서는 제가 잘 모르는데다.. 괜히 건드리면 위험할까 싶어 아래와 같은 구성을 생각하고 있습니다.



우선 KT에서 각 방의 벽포트는 이용할 수 있게끔 설정해 준다고 해서 꾸며본 구성입니다.

침실1(안방)과 거실에 각각 스마트 TV(IPTV셋탑형식 2개) 가 들어오게 되구요

침실2(방2) 가 서재입니다.


홈 네트워크와는 별도로 침실2의 벽포트에서 공유기 (나이트호크 r8000)를 물리고, 컴퓨터 2대를 유선으로 장착할 생각입니다.

여기에 역시 복합기를 wifi를 이용해서 묶을 예정이구요.


TV두대를 홈네트워크 wifi가 아닌 제 개인 공유기 wifi로 묶어서 dlna를 시도해 볼 생각입니다.


혹시 이 과정에서 또 고려해야하는 사항이 있을지요?

현재 불안요소 및 가능할까? 하는 점은 2개가 있습니다.


1. 침실1 과 침실2 사이에 거리가 멀고 벽을 두개를 마주보고 있는 터라 이 부분이 불안요소인데요.

해소방안으로는 일단 지금 원룸에서 쓰던 D-Link 806a를 리피터 모드로 사용해서 2.4g를증폭시켜볼까 하는데 괜찮을까요?


2. DLNA의 소스인 공유폴더의 경우 공유기(나이트호크)에 스토리지박스를 물려서 쓸 생각인데요,

외장 HDD가 아니라 2베이나 4베이짜리 스토리지 박스를 사서 usb3.0으로 물려볼까 생각중인데 혹시 문제되는건 없을까요?


고수님들의 조언 부탁드립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86김태영 2016-12
추가로 2베이나 4베이짜리 저렴한 스토리지박스 추천 부탁드립니다.
팔코 2016-12
1기가 지원하는 공유기(인터넷티비 혹은 인터넷 전화 같이 사용하면 기본 제공할듯)를 단자함에 넣어 달라 하시면 각 방(거실 등)의 랜단자에서 인터넷 연결 가능하게 해주실겁니다. 방2에서 개인 유무선공유기를 공유기 기능 끄고 허브로 쓰면 유무선 같이 쓸수 있을겁니다. 방2외는 홈네트워크 WIFI로 쓰시고 신호가 약한곳은 무선공유기를 추가 연결하면 될거 같습니다. 인터넷 기사님 설치 끝나면 방2와 스마트폰으로 홈네트워크 WIFI로 연결 되는지 확인하면 됩니다.
     
86김태영 2016-12
답변 감사합니다. 안그래도 그런식으로 구성한게 위의 구성도인데요.

위에도 적었지만 서재 (침실2)에 개인공유기를 통해 wifi를 구성할 때 침실1까지 신호를 무사히 보낼 수 있을 것인가와.

나이트호크 r8000의 경우 스토리지박스(DAS)를 USB3.0을통해 연결할 때, dlna속도가 제대로 나와줄까가 걱정입니다.
아무래도 2.4g로 스마트TV와 wifi로 엮일 듯한데.. (5기가가 저기까지 가면 좋겠지만은 무리라 생각되어) 이게 스트리밍하는데 지장은 없을까요?
          
팔코 2016-12
스마트TV, 나이트호크를 써보지 않았지만
스마트TV면 유선 연결하시고, 방2 공유기와는 유선 연결될텐데 무선을 고려해야 하는지요? 환경이 안되면 어쩔 수 없겠지만...
참고로, 공유기의 USB3.0은 2.4GHz와 충돌난다는 소식(IPTIME 측)있으니 2.4GHz를 죽이던가, USB3.0을 죽이고 USB2.0으로 써야 할거 같습니다. (충돌 문제는 넷기어에 다시 확인해보세요)
               
86김태영 2016-12
ㅠㅠ 유선 연결이면 좋긴한데... 현재
(1)통신단자함의 공간이 부족하고
(2)통신단자함에서 각방의 벽포트로 연결되는게 아마도 깡통허브를 통한 개념이라 집안에 자동으로 네트워크구성이 되지 않는 듯합니다.

제 부족한 지식으로 벽포트로 나오는 유선망까지 네트워크를 묶으려면
통신->KT->스위치허브->각방
형태로 구성을 해야하는 듯한데.. iptv같은 경우는 KT공유기가 아니라 따로 연결되는 어답터 같은걸로 들어가서 고정IP형태로 들어간다는 소리가 있어서 이를 처리하기가 쉽지 않네요...그냥 인터넷연결선->셋탑->TV인줄알았는데 그게 아닌것 같더라구요

그래서 궁여지책으로 나온 방법이 위와 같은 방법입니다.
86김태영 2016-12
공유기에서 거실과 침실1까지 유선을 직접 연결하여 쓰는것도 가능은하지만 배선이 길어져 미관상 좋지 못하여 벽퐂드를쓰려다보니 그렇게되었습니다ㅠㅡㅠ
팔코 2016-12
http://www.storylink.co.kr/front/php/category.php?cate_no=31 (1기가비트 지원하는지 확인요망)
이것도 단자함에 안들어 갈까요? 자가 아파트면 허브 떼내고 8포트짜리 유선공유기를 넣는것도 가능합니다.
단자함 공간이 확보되면 가까운 컴퓨터 가게에 부탁하는것도 방법일듯...
     
86김태영 2016-12
저정도는 들어갈 것같은데요. 음 그런데 2포트인데...제가 이해가안가서그런데..
어느 위치에 저걸 달라는 말씀이신지요...
          
86김태영 2016-12
허브빼고 교체는 생각안해본건 아닙니다만.. 컴터가게에서 해줄려나요
나비 2016-12
단자함은 보통 공간이 널널하더라구요

전 아파트 자체 내장 된 허브는 안쓰고

4+1공유기를 넣어서 사용했습니다.

오피스텔에서는 8포트 허브를 넣어서 썼구요..

단자함 안에 DHCP 역할을 하는 공유기가 들어있으니,

각 방에 무선공유기를 DHCP 기능 끄고 연결해주심 되겠네요.

거실 같은 경우 포트가 부족한 곳은 전화선을 랜선으로 연결해서 썼습니다.

(같은 8핀 커넥터를 쓰더라그요 RJ45인가 그거..)
팔코 2016-12
제가 게시글을 정독하지 않았네요. 전부 잊으시고 KT에서 각 방에 있는 랜포트를 쓸 수 있게 해 준다고 했으니 방2에서 쓸 공유기(허브로 설정)만 방2의 랜토트와 공유기 허브(WAN포트 아님)에 연결해서 쓰면 될거 같습니다. KT기사님 오시면 방2에 설치한 공유기를 통해 PC나 스마트폰이 인터넷 연결되는지 확인해보세요.
TV 무선 신호가 약하면 안방과 거실의 랜포트에 공유기4포트짜리 작고 저렴한거로 연결해서 셋탑과 TV유선랜 연결하면 될거 같습니다.
참고로, TV와 셋탑은 랜선이 아닌 HDMI 단자로 연결될겁니다.
     
86김태영 2016-12
좋은답변감사합니다!


QnA
제목Page 2154/5725
2014-05   5240380   정은준1
2015-12   1765821   백메가
2016-12   4452   김성기1
2016-12   4794   FullMoon
2016-12   8321   패럿
2016-12   4554   김건우
2016-12   8914   petabyte
2016-12   4758   여해i이상복
2016-12   4697   Chodong
2016-12   4881   스풀
2016-12   4000   나파이강승훈
2016-12   16342   tidd
2016-12   4021   FullMoon
2016-12   4759   강승우입니다
2016-12   7142   86김태영
2016-12   4096   oohsung
2016-12   4478   이하나
2016-12   7681   tidd
2016-12   4147   jang
2016-12   6975   누굴까
2016-12   6022   주황별
2016-12   5368   임진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