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43284 |
0 |
2014-05
5243284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68587 |
25 |
2015-12
1768587
1 백메가
|
72731 |
오라클에서 데이터를 가져올때 (4) |
질문학생 |
2017-02 |
4967 |
0 |
2017-02
4967
1 질문학생
|
72730 |
최대 PCI-e 레인 수를 잘 몰라 질문합니다. (12) |
신우섭 |
2017-02 |
11899 |
0 |
2017-02
11899
1 신우섭
|
72729 |
raid 중간 하드 추가 질문 (4) |
컴박 |
2017-02 |
5349 |
0 |
2017-02
5349
1 컴박
|
72728 |
dell r210 ii 바이오스 업데이트 하려는데...방법좀 알려주세요. (3) |
김건우 |
2017-02 |
5418 |
0 |
2017-02
5418
1 김건우
|
72727 |
서버 관련 질문드립니다. (너무 아는게 없어서 ..) (16) |
PAMA머리 |
2017-02 |
5394 |
0 |
2017-02
5394
1 PAMA머리
|
72726 |
C612 칩셋 보드도 Intel 750 같은 PCIE SSD 부팅 지원을 하나요?? (5) |
DOSS |
2017-02 |
6092 |
0 |
2017-02
6092
1 DOSS
|
72725 |
공유기에 nginx 질문입니다.. (2) |
isaiah |
2017-02 |
5897 |
0 |
2017-02
5897
1 isaiah
|
72724 |
CPU 성능 비교사이트가 있을까요? (13) |
goodsense |
2017-02 |
48077 |
0 |
2017-02
48077
1 goodsense
|
72723 |
CPU 소켓 핀 휘어졌으나 잘 켜지네요...? (14) |
별가 |
2017-02 |
5971 |
0 |
2017-02
5971
1 별가
|
72722 |
vmware 에서 NAT로 하면 보안성이 높아지나요? (3) |
미수맨 |
2017-02 |
5858 |
0 |
2017-02
5858
1 미수맨
|
72721 |
랜섬웨어에 감염 안될려면 어떻게 조심하면 될까요? (23) |
Win31 |
2017-02 |
5215 |
0 |
2017-02
5215
1 Win31
|
72720 |
네트워크가 전이중(Full Duplex)으로 연결된게 맞는지 확인해보고 싶습니다. (7) |
황혼을향해 |
2017-02 |
7414 |
0 |
2017-02
7414
1 황혼을향해
|
72719 |
ibk 저축은행.. 1시간째 헤메고 있습니다... (4) |
건약 |
2017-02 |
11043 |
0 |
2017-02
11043
1 건약
|
72718 |
ESXi는 VT 가상화기술이 없는 CPU에서는 설치가 안되나요? (3) |
김현우1 |
2017-02 |
5505 |
0 |
2017-02
5505
1 김현우1
|
72717 |
린필드 1156소켓 750 -> X3470으로 업그레이드시 문의 드립니다. (3) |
으라차차차 |
2017-02 |
5821 |
0 |
2017-02
5821
1 으라차차차
|
72716 |
PC3 ECC Unbuffered 메모리 물량이 많이 부족한가요?? (2) |
오리고니 |
2017-02 |
4558 |
0 |
2017-02
4558
1 오리고니
|
72715 |
알리 분쟁 관련 질문입니다. (2) |
장동건2014 |
2017-02 |
5128 |
0 |
2017-02
5128
1 장동건2014
|
72714 |
해당 ip가 vpn인지 특정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4) |
듀얼cpu |
2017-02 |
9724 |
0 |
2017-02
9724
1 듀얼cpu
|
72713 |
휴대폰 충전 보조배터리 용량 큰거 써보신분.. (6) |
제라드TN |
2017-02 |
5630 |
0 |
2017-02
5630
1 제라드TN
|
72712 |
안녕하세요 혹시 CPU 소켓교체하는곳 알 수 있을까요 (6) |
H4CHI |
2017-02 |
5210 |
1 |
2017-02
5210
1 H4CHI
|
중요한 자료는 젤 마지막 드라이버에 넣어두시면 좀 안전 할듯 싶고
백업이 젤 중요 하지 않을 까 싶네요... 전 3군데 백업 하는데 요즘 귀찮아서 안 하고 있습니다만....
3군데 이상 백업 하면 되지 않을까 싶네요.
(랜섬)1996년 멜깁슨 주연 회장님(억만장자) 아들래미 납치 해서 돈 달라고 협박 하는 영화가 대 히트 쳤지용..
말 그대로... 몸값 금품을 주고 풀려나오게 하기...
즉... 고객님의 소중한 자료를 암호화 하여 암호 풀고 싶으면 아래의 계좌로 돈을 보내라하고 협박하는 악성프로그램입니다.
그래서 c: 운영체제 쪽은 그놈들이 협박을 하는데 정상적으로 사용이 되어야 하기 때문에 감염이 되더라도 사용이 가능 합니다만...
중요한 자료가 있는 백업 드라이버 쪽으로 순차적으로 감염이 시작 된다고 합니다.
랜섬 감염된 pc를 아시는 사장님 한분이 백업 다 해놓고 랜섬워어가 뭔짓을 하는지 몇시간 두고 봤답니다.^^
그러니 아까이야기 한것 처럼 순차적으로 암호화를 시키기 때문에 뒷쪽은 안전 할수도..
허나 훗날 변종이 나오면 머.. 뒷쪽 부터 감염 된다고 하면....^^
그리고 특정 프로그램으로 감염된게 아니라. 그냥 팝업창 같은거 뜨고 바로 감염 되었다고 하네요
구글에서
참고 하셔요...^^
백업은 물리적 다른 PC에다가 하는게 안전합니다. 3군데..^^
이상한 사이트 접속 금지 만 하시면 될듯 합니다..
재가 아직 랜섬에 걸린적이 없습니다.. 하하하
플래시나 자바등을 통해서 로컬 권한을 획득하는 방식이라죠
즉 딱히 무언가를 하지 않아도 평범하게 웹서핑을 하는데
하필이면 평소에 다니던 그 웹사이트에 광고가 달려 있었는데
광고 에이전트가 해킹을 당해서 랜섬웨어 유포가 되고 있을수도 있는 경우입니다.
그렇게 뉴스가 나왔었지요.
그래서 전 모든 웹브라우져에 플래시 다 끄고 자바는 아에 설치를 안합니다.
지금은 보안이 강화되어 나아졌다고는 하지만....
뭐 그다지 플래시 없어도 제가 이용하는 웹사이트들을 이용하는 것에는 불편함이 없네요.
아니, 그런 보안적인 문제가 아니더라도 하드웨어 장애라던가 사용자 실수로라도 데이터를 날릴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백업이 필수인 것이고요.
랜섬웨어까지 대비해서 백업을 하시고자 한다면
고가의 백업 솔루션을 사용하시거나
또는 저렴하게 하시고자 한다면
백업pc 하나 준비하시고 백업서버로 데이터를 밀어넣는게 아니라 백업서버가 대상서버(및 pc)에 접근하게 하여 데이터를 가져가는 방식으로 하여
외부에서 백업서버로는 접근 못하게 해두는 방법이 있습니다.
우선 아래와 같이 2015년 3월, 7월달에 2번 걸렸습니다.
감염된 경로를 추측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물론, 백신 프로그램 2개 사용중이었고 못잡았습니다)
1. 비디오 코덱 설치로 의심됨.
-최신영화(불법) 다운로드 --> 플레이안됨 --> 최신코덱 설치 유도 --> 최신코덱 설치(외국싸이트) 후 감염된 것으로 의심됨.
2. 불법복제 프로그램 설치로 의심됨.
-최신 유틸리티를 모으고 보관하는 습성있음 -> 특정 프로그램 다운로드 후 설치테스트중 감염된 것으로 의심됨.
이후로 백신을 여러개 깔아서 사용중입니다. 상용,무료 따지지말고 사용하기 편한 것 중복으로 사용중입니다.
그리고
꼭 필요한 프로그램은 다운로드 후 3개이상의 백신으로 검색후 압축을 풀고 압축풀고 또 3개 이상의 백신으로 검색 후 설치합니다. ㅡㅡ;
UAC 사용자가 걸리지 않았다는 것은 UAC가 막았다.. 라기 보다는 UAC를 상시 켜 놓을 만큼 어느정도 신경을 쓰는 사람이기에 안걸렸을 확률이 높죠.
NTFS 파일시스템의 변경권한도 UAC를 타야됩니다. 즉 SYSTEM권한과 관리자권한이 백그라운드로 침투한 스크립트가 변경권한을 가지기 위해서는 UAC가 필요하죠 안하고 진행되면 파일만 실행될뿐 아무것도 일어나지 않습니다.
시스템파일이 아닌 일반 배치스크립트 파일을 UAC 권한으로 실행하지 않으면 껍데기만 올라갈뿐 서비스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습니다.
UAC의 실행구조를 보면 이런답변 안합니다. 마냥 시스템의 중요한 폴더쪽에 파일복사 변경시 UAC 물어보니까 여기만 그런가보구나 하는데 아닙니다. 일반폴더 역시도 악성코드나 바이러스류 같은 랜섬웨어가 조작하는데는 권한상승이 있어야 가능하다는겁니다. 물론 확인과정을 거쳤기때문에 안걸린거다?라고 하는데 웹브라우져에서 랜섬웨어 걸리는 사람들은 스크립트가 백그라운드로 동작하기 때문에 쉽게 걸리는겁니다.
바이러스나 랜섬웨어가 동작을 하기 위해서는 관리자 권한뿐만이 아니고 시스템을 핸들링할수 있는 권한까지 필요한겁니다. XP는 더할거 없이 그냥 걸린다고 보면 되고 비스타/7부터는 UAC내린 사용자는 XP랑 똑같이 걸린다는겁니다.
바로 위의 초코송이님의 경우처럼 일반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서 실행하는 경우도 제법 많습니다.
초코송이님의 경우는 설치 프로그램이었기 때문에 UAC인증 화면도 떴겠지만 일반 실행 파일의 경우엔 UAC가 뜨지 않고 날려먹게 되죠.
왜냐면 UAC 동작프로세스 구조를 님이 이해를 못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전 버전으로 복구할수있어서 좋아요
구제역과 비슷한 형태입니다.
치료를 포기하고 확산을 막는데 주력하는 것과 같습니다.
그나마 예방법으로는..
1. 패치를 열심히 한다.
아주 가끔 사용자에 따라 업데이트 자체가 문제가 될 수도 있지만 업데이트 오류가 무섭다고 패치를 안한다는건 폐를 뜯어내면 감기에 안걸림!!.. 같은 말입니다.
2. 백업
네트워크 공유 백업이 아닌 FTP 같은 전용 프로그램을 통한 백업을 해야 합니다.
3. 공유
네트워크 공유는 절대적으로 읽기 전용으로만 사용해야 합니다.
4. 위험한 행동을 하지 않는다.
어쩌면 0 순위가 될 수도 있습니다.
인터넷에서 의심스러운 파일은 받지 않아야 합니다. 메일이든 토렌트든 말이죠.
정히 한다면 네트워크가 끊긴 가상 OS상에서 테스트 후 사용하는 것이 그나마 안전합니다.
제일좋은건 웹서핑시 크롬브라우저+확장도구로 애드블럭 + 중요데이터는 따로 백업밖에 답이 없는거같습니다.
주로 랜섬걸리신분들이 윈7 + 익스 조합이 제일 많은거같더라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