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__)
현재 약 4개월정도 헤놀로지를 사용중인 초심자입니다.
이틀전부터 NAS의 랜 연결이 되었다가...끊겼다가...오락가락 하여.이상하다 싶어 랜카드를 확인해보았더니 기가랜이 100메가랜이 되어있더군요...
내장랜이 맛이 가버렸구나.하고 생각이 들어 마더보드를 교체하려고 하는데..
'혼자쓰는데 뭐하러 램을 8기가씩이나 넣냐 , 2기가만 있어도 충분하다' , 'CPU도 좋은거 필요없고 대충 굴러다니는 샌디같은거만 박아도 괜찮다' , '기왕 할거면 ITX케이스랑 CPU 일체형 저전력보드까지 사서 제대로 만드는편이 낫다' 외에 여러가지 기타등등....
지인들의 조언이라는 탈을 쓴 여러가지 참견들이 생각이나서...
대충 쓰는건데 뭐 어떤가...하고 무시하려 했지만 , 제 귀가 영 얇은지라...계속 머릿속에 맴돌더군요..^^;
(여기까지가 서론입니다.글이 두서 없고 황망하여 죄송합니다. ^^;)
하여 , CPU와 메모리의 클럭 , 하드디스크의 동작속도 , 듀얼랜카드 사용 , SSD 유무 등이 시스템 구성에 얼마나 차이를 보이는가 ,
그 차이가 의미가 있는가. 등을 알고자 합니다.
기존 사양은 다음과 같습니다 :
CPU : 셀러론 G3930
M/B : GIGABYTE H110-D3A (USB포트 고장 , 온보드랜 고장)
MEM : 삼성전자 DDR4 2133 8G
HDD : Seagate 2TB x 4 (RAID 5)
부트로더 : 1.03b
DSM 버전 : 6.2 23739
이하 질문들입니다.
1.듀얼랜이나 쿼드랜을 사용하면 속도향상을 기대할수 있을까요?
네트워크 회선은 기가비트 대칭회선입니다.현재 필자는 ASUS P9D-C/4L , P10S WS등의 다중랜 구성을 가진 마더보드,랜카드들을 구비하고 있습니다.
2.헤놀로지의 메모리 용량과 속도는 얼마정도면 적당할까요?
현재 필자가 소지한 CPU들중 TDP가 제일 낮은 CPU는 위에 써진 G3930과 i3 6100 (51W) 입니다.CPU는 둘중 하나를 사용할것이니 메모리는 당연히 DDR4를 사용하게 될텐데 , 메모리 클럭이 높으면 NAS의 성능도 올라갈까요?
사용인원은 1명입니다,거진 혼자사용하며 동시접속할 일도 별로 없습니다.용도는 사진이나 서류등의 파일보관/전송 , 그리고 동영상 스트리밍 입니다.
3.하드디스크의 동작속도가 성능에 영향을 주는가요?
현재 구성은 모두 7200RPM 하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5400RPM 하드디스크와 별로 차이가 나지 않는다면 노트북용 하드로 교체하여 소음을 줄이고싶습니다.
4.SSD를 사용시 성능향상이 있을까요?
사실 마지막 질문은 검색등으로 얻게된 결과를 종합해보았을때 의미가 없다고 생각됩니다.(안전성 , 가격대 용량 , 고장전의 전조증상...등등.)
그렇기에 사용하진 않을 생각이지만 , 만약 성능향상이 았다고 한다면 실험정신의 일환으로 2TB SSD를 여러장 장착해볼 생각은 있습니다.
이상입니다.글이 너무 길어져 죄송합니다. (^^;)
코로나 조심하시고 평화롭고 한적한 주말이 되시기를 바라며 줄이겠습니다.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2. 전기 많이 먹어도 더 빠르 CPU와 더 큰 메모리를 사용하면 성능은 좋아지겠죠??
3. 하드디스크의 동작속도는 성능에 영향을 줍니다..
기회 되시면 10K 혹은 15K rpm 하드 써보세요..
용량 큰 SSD가 있으면 그것을 발라버리는게 가장 성능은 좋을 것입니다..(역시나 돈이 문제가 되는)
4.SSD를 어디에 사용하느냐가 문제가 되겠죠..
NAS라면 데이터 저장용이냐 캐슁용이냐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캐싱용 SSD 장착사례를 찾아보았으나 , 생각해보니 SATA 포트가 부족하군요,,,^^
그렇다고 확장카드나 M.2 SSD를 달자니 너무 뻘짓인것 같은 기분이 들어 , 그냥 적당하고 무난한선에서 만족하기로 하였습니다.
지난 4개월동안 썼을때도 속도면에서 큰 문제나 불만은 없었으니까요.
빨라집니다. 근데 혼자쓰는데 굳이?
nas 운영체제가 뭔가요 ?
권장사양만 맞추면 평균은 합니다.
답변 감사합니다.평온한 주말 되세요 :^)
대용량 파일 이전 같은게 아니면 5000 : 7200 은 그닥차이가 없는거같습니다.
24 시간 걸릴거 25 시간 걸리는 느낌..
SSD 캐시를 쓰실거면 2개 꼽아서 읽기 캐쉬 쓰기캐쉬 만드셔야....하고 하드 대용이면 속도는 어마무시해질거같네요 ...
54나 72나 도찐개찐.이군요.
SSD는 아깝고 귀찮으니 때려치우고 , 소음 줄이는 것이나 좀더 생각해봐야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시놀 저사양으로 해결이 될 것 같아요
저도 e3-1220 으로 헤놀 돌리는게 있는데..
그냥 1-2베이 시놀을 샀으면 어땠을까 싶어요..
상시 사용시, 40-50와트 정도 밖에 안쓰더군요.(하드 4개에 OS는 USB에 임베디드로 깔았음) 측정해보면,
나스도 파일서버라 기본이.. 메모리는 많을 수록 좋습니다.
인텔 쎌레론 썼었는데, 성능차이가 많이 납니다. 대개,OS가 freenas /xigmanas 계열이 유닉스 계열이라,
서버용 cpu 쓰시면 성능차가 많이 납니다. 토렌트 업/다운 합쳐서 초당 30-40메가 까지 나갑니다.
======
zfs로 자체 내장 레이드쓰고,ssd를 L2 캐쉬로 쓰면 속도가 아주 빨라진다고 (이것도 자체 내장되어있음 OS에)
들었습니다.
공부삼아서, 자작하시는 것 추천합니다.
몇몇 상황에서는 고사양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1. RAID5 + 10Gbps 와 같이 대량의 패리티 연산이 필요한 경우
2. 데이터 실시간 암호화
3. Docker 등으로 다양한 Container 사용.
이 이외의 상황에서는 2GB를 초과하는 RAM이 얼마나 효용성이 있을지.....
2번의 경우에도 기가비트 수준이라면 요즘 나오는 J3445 급으로도 넘치는 성능을 보여줍니다.
어떤 용도로 사용하는지, 어떤 서비스가 올라가는지에 따라 좋은 해답이 나올겁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