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64453 |
0 |
2014-05
5264453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89450 |
25 |
2015-12
1789450
1 백메가
|
94134 |
여기다 물어봐도 될지.. 주소지별로 lte 신호 레벨을 알수있는 방법 (6) |
냐아아아암 |
2020-06 |
2417 |
0 |
2020-06
2417
1 냐아아아암
|
94133 |
질문드립니다~ 서버 재활용 -> 빅타워 PC (6) |
팅팅탱탱탱 |
2020-06 |
3640 |
0 |
2020-06
3640
1 팅팅탱탱탱
|
94132 |
라이젠 2600, msi x470 보드에 win8.1 설치 (3) |
김효수 |
2020-06 |
3545 |
0 |
2020-06
3545
1 김효수
|
94131 |
이 제온cpu 견적 괜찬나요 ? (10) |
오리꽥꽥 |
2020-06 |
7441 |
0 |
2020-06
7441
1 오리꽥꽥
|
94130 |
맥 에어로 간단한 4k 동영상 편집 가능할까요? (6) |
imperator |
2020-06 |
3029 |
0 |
2020-06
3029
1 imperator
|
94129 |
3 Mbps 무제한 요금제 무선 테더링 (핫스팟) (8) |
Noname1 |
2020-06 |
5492 |
0 |
2020-06
5492
1 Noname1
|
94128 |
3 Mbps 무제한 요금제 무선 테더링 (핫스팟) (3) |
삐돌이슬픔이 |
2020-06 |
3730 |
0 |
2020-06
3730
1 삐돌이슬픔이
|
94127 |
lenovo t440p 램 인식 문제 (3) |
도오 |
2020-06 |
3620 |
0 |
2020-06
3620
1 도오
|
94126 |
루미나4 기기등록이 2대까지인데요. OS 포맷후 기기등록 컴퓨터 대수 초과 메세지 … (1) |
꾸띠웍 |
2020-06 |
3066 |
0 |
2020-06
3066
1 꾸띠웍
|
94125 |
wol 질문.... (4) |
U3164 |
2020-06 |
3621 |
0 |
2020-06
3621
1 U3164
|
94124 |
노트북 전원을 항상 꼽고 쓰면 안좋나요? (17) |
DDDIE |
2020-06 |
33483 |
0 |
2020-06
33483
1 DDDIE
|
94123 |
해당 기능은 무슨기능인가요? (6) |
레나 |
2020-06 |
3685 |
0 |
2020-06
3685
1 레나
|
94122 |
인텔내장 VGA에서 크로마서브샘플링444 (YCrCb444) 설정 방법 문의 (1) |
IRIX6530 |
2020-06 |
8004 |
0 |
2020-06
8004
1 IRIX6530
|
94121 |
자작나스의 사양,구성을 어느정도로 할지....고민됩니다.(장문) (11) |
U3164 |
2020-06 |
6938 |
0 |
2020-06
6938
1 U3164
|
94120 |
1620 v3에서 1660 v3로 업글했는데 벤치 점수가 너무 낮게 나옵니다... (3) |
auto15151 |
2020-06 |
3243 |
0 |
2020-06
3243
1 auto15151
|
94119 |
SAS, 우문 하나 드립니다. (13) |
디지유 |
2020-06 |
3934 |
0 |
2020-06
3934
1 디지유
|
94118 |
SAS, 우문 하나 드립니다. (2) |
삐돌이슬픔이 |
2020-06 |
2652 |
0 |
2020-06
2652
1 삐돌이슬픔이
|
94117 |
맥 프로에 OS설치 질문입니다 (11) |
막울었어요 |
2020-06 |
3686 |
0 |
2020-06
3686
1 막울었어요
|
94116 |
LSI 9207 (SAS 2308) 문의 드립니다. (9) |
죠슈아 |
2020-06 |
7376 |
0 |
2020-06
7376
1 죠슈아
|
94115 |
CCTV 용 카메라 추천 바랍니다. (12) |
한효석 |
2020-06 |
3384 |
0 |
2020-06
3384
1 한효석
|
모바일 게임 돌리실거면 듀얼까지 가실 필요는 없고 2678 v3 하나면 충분합니다.
그 이상가시면 앱구동을 위한 비디오카드 RAM이 부족해서 CPU 자원이 남아돕니다
그래픽 카드는 해당시피유에 1080ti 중고를 많이들 쓰는것 같습니다
2678 v3 + 1080ti 정도가 앱플레이어 돌릴때 CPU + 그래픽카드 자원을 최적으로 뽑아먹을수있는 조합으로 알고있습니다.
Cpu 넉넉하게 쓰려구 햇는데...
그래픽카드 잘 안쓰인다고 들었는데 조화가 잘되야하나보군요...
Ddr3까지가 마지노선 같네요.
(3700x는 사용자가 바이오스에서 직접 PBO나 수동오버를 하지 않는 한 CPU 패키지 단일 소비전력이 90W로 제한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저 중국보드들은 전원부 내구도가 극악이라서 풀로드 좀 돌리면 전원부 금새 고장날것으로 보입니다.
풀로드가 아닐수도 있으니 소비전력이 100W가 추가되고 24시간을 돌린다 치면 추가 전력소모만 한달에 72KWh입니다.
가정의 전기요금 누진구간 300KWh라고 치면 1만 3천원 추가, 500KWh라고 치면 월 전기요금 2만원 추가입니다.
개인적으로 저런 보드로는 1년정도 풀로드 돌릴 가능성도 0이라고 보고 운좋고 1년간 돌아갔다 하더라도
가정 누진세 어느정도 나오는진 모르지만 1년동안 추가되는 전기요금만 생각해도 꽤 클겁니다.
24시간 시스템 소비전력 100W 차이로 인해 연 24만원의 전기요금 추가(연 24만원이 나오는게 아니라 24만원이 "추가"되는겁니다.)
적은돈이 아니죠.
지식과 추측에 기반한 의견을 말씀하시는것 같아 사례를 기반한 말씀을 드려보겠습니다.
1. 안드로이드 앱플레이어 구동에서 비디오카드의 중요성을 멸시하시는것 같으신데
구동 클라이언트개수가 점점 많아질수록 높은 자원을 요구하며,
나중에는 최적화를 위해 구동 프레임을 줄여야 할 정도로 VGA의 요구사양은 높은 편입니다.
2. 단순 대당 전기세 차이로만 접근하시는 것보다 한 시스템에서 몇개가 굴러가며,
클라이언트당 몇와트를 소모하는지 계산을해보시는게 보다 올바른 가동비용 접근방법이라고 봅니다.
3. 가장 중요한 2번의 연장입니다.
앱 플레이어 목적으로 사용 시 양사 CPU간 중요한 차이는 점유율이 올라갔을때 안정성 차이가 난다는 것입니다.
쓰다가 부품이 죽고 그런 의미의 안정성이 아니라 얼마나 지속 가능한 운용이 되는가...? 인데
제온은 CPU점유율이 100%에 걸린상태에서 일시적인 추가부하가 걸려도 구동속도가 느려지면서 중단없이 운영이 되는 반면,
라이젠은 앱 구동갯수가 늘어가면서 점유율이 약 75%이상 넘어가게되면
전체적으로 클라이언트가 멈추다가 결국에는 리셋까지 해야하는 상황이 오게됩니다.
이건 시간이라는 것도 자원이라고 생각하게 될때 가동율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사용자가 뻗는동안 못봐서 트러블슈팅 못하는 시간도 결국 전기세 낭비구요...
결국에 라이젠은 기대했던 퍼포먼스보다 가동개수를 줄여야 잘 굴러간다는 소리입니다.
해당 부분은 라이젠 3세대까지도 동일 적용되며, 실제 2678v3의 가동 개수는 3900x와 거의 비슷한 수준을 보여줍니다.
4. 앱 플레이어 목적으로만 본다면 12코어 하스웰 제온과 동일한 퍼포먼스의 다른 대안을 찾는다면 초기 도입 비용에서 아득한 차이가 납니다.
5. 다른 제품은 사례는 잘 모르겠지만 현업으로 작업장 하시는분들 중에서
현재까지도 H사 초기형 중국보드인 AD3모델 수십대가 큰 문제없이 무중단 운영되고있습니다.
이것이 모집단의 품질을 판정할수는 없겠지만 개인이 판단하기에는 충분한 근거가 되겠지요?
6. 이런 사실이 왜 오픈 커뮤니티에 정보공유가 되지 않았을까요?
모바일 게임 작업장은 채굴과 비슷한 겁니다.
이해 당사자들 입장에서는 다른사람들이 시스템을 들고 난입한다면 밥줄이 크게 위협받기 때문입니다.
여기까지 줄입니다.
근데 앱플레이어 아무리 빡세게 굴려도 1080ti로 앱플 구동시 풀로드 돌아간 경우는 없었습니다.
그래서 하프로드라는 표현을 한거고요.(뭐 대략 100~150W 구간이겠죠)
2. 저 분이 말씀하신건 최대 개수를 원하는거였죠.
즉 거의 풀로드라는거죠. 그럼 풀로드시 전력소모를 비교해야 하고
풀로드시 소모되는 전력 소모 차이를 알려드리는게 맞을 것으로 보이는데요.
e5 v3와 젠2의 와트당 성능비는 대략 3배정도 차이입니다.
3. 맥을 메인으로 합니다만 편집이 편하지만 랜더링이 느리기 때문에 긴 영상은 라이젠으로 랜더링 돌립니다.
40시간 연속 100% 랜더링에도 끄떡이 없는데요. 대체 뭐가 안정성이 떨어진다는건가요?
4. 유지보수 비용또한 반대로 아득한 차이가 납니다.
고장나면 무상 AS 3년짜리 제품과 버려야 되는 제품의 유지보수 비용차이는 어마어마하죠.
그리고 2678v3 같은건 안써봤는데 2690v3 듀얼에서 3900x로 교체했을때
랜더링 시간은 미세하게 늘어났지만 랜더링시(풀로드죠) 전력소모는 200~250W는 차이났습니다.
4K 영상 랜더링시 대충 5시간씩도 걸리긴 하니 뭐 말안해도 알겠죠.
직접 측정한 결과이고 곧 듀얼 시스템 나머지 한대도 인텔 9세대로 변경했습니다.
그리고 집 전기요금 18만원에서 12만원으로 줄었습니다.(전년도 같은달 대비입니다.)
가정이 아니고 사무실에 놓는거라면 v3를 놓든 불도저를 놓든 신경안썼을겁니다.
5. 네 제 지인이 3년전에 도입한 라이젠 1700x 시스템도 무중단 운영되고 있습니다.
쉬지않고 거의 풀로드 100% 상태로 계속 돌아갑니다.
6. 이건 뭐 그들만의 세계니까 그러려니 합니다.
제온 v3에대한 애착이 많은건 알고 있는데
노후화된 고전력 플랫폼이란건 사실입니다.
이만 줄입니다.
passmark가 싱글코어를 더 중요시해서 e5 2678 v3 가 저평가 되는 부분이 있는데 멀티 성능은 라이젠 3700x보다 더 잘 나옵니다.
여러개 돌리실거면 이라달님 말씀처럼 그래픽카드 성능도 중요하기에 싱글로 줄이고 그래픽카드에 더 투자해서
e5-2678 v3 (12c 24t)
ddr3 64gb
x99-ad3
gtx1080ti
정도가 좋을 것 같습니다.
참고로 ddr3 지원하는 e5 v3 애들중에
e5-2629 v3
e5-2649 v3
e5-2669 v3
요 3개는 vt 가상화 미지원이므로 앱플레이어 용도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나쁘지... 않은 선택인듯 합니다.
메모리도 부족할 듯 합니다.
싱글로 가시고 48g 정도 넣으세요.
그래픽은.. gtx로 가는게 맞습니다.
성능과는 별개로 중고 처분이 좀 어렵습니다.
각개로 해도 보드가 일단 범상치 않은 놈들이기 때문이지요.
차라리 저라면 2대로 쪼개더라도 싱글로가고, 아니면
대중적인 모델 하이엔드 쪽으로 가겠습니다.
중고 처분의 편의성을 위해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