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설치된 하드를 타 hw 장비에 붙였습니다. hostname 변경 외에 추가 설정이 어떤게 있을까요?

   조회 2290   추천 0    

ip addr show 에서는 nic 장비들이 다 보이는데

network-scripts 에서는 초기 설치가 아닌지라 이전 장비 스크립트만 보이네요.


기존이 eth0 이었다면 신규 시스템에서는

eth1 wlan0 등과같이 새로운 디바이스명이 붙는데 스크립트 생성은 안되어있네요.

기존 설정 복사해서 얼추 맞추긴 했는데

추가로 os상 디바이스 인식이나 설정등의 현행화 같은것이 필요할까요?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dateno1 2021-09
그런 하드웨어 관련 설정 바꾸고, 반드시 장치 다 잡히나 확인후 안 되면 커널 컴파일 새로 하세요
     
SiCMOS 2021-09
커널 컴파일은 제대로 된 해결책이 아닌거 같습니다. 걍 재설치를 하고 말죠;
          
겨울나무 2021-09
검색해보니 커널컴파일 하라고는 되어 있습니다. 사무실이다보니 재설치 여건도 안되고 자게에 크로스케이블 판매 요청드린 상황입니다.
케이블 구해서 인터넷이 된다 해도 usb나 dvd 미디어가 없어서 현재상태에서는 재설치가 불가능합니다.
다만 커널컴파일이란게 워낙 전문적 분야고 커널 설정을 자세히 알아야 하기에 사실상 네트웍이 보이는 상황에서 특별한 장치 인식이 필요치 않다면
그냥 사용하고 추후 여건이 되면 커널컴파일이건 재설치건 생각해봐야겠습니다.
               
dateno1 2021-09
유포판에서 기본으로 주는 커널은 config도 같이 동봉되거나, 받을 수 있습니다

그걸 받은후 menuconfig으로 열어서 필요한 하드웨어 추가후 저장 -> 컴파일하면 됩니다

변경할게 없다면 그냥 기존 설정 그대로 써도 되다보니 그닥 어려울껀 없습니다
          
dateno1 2021-09
원래 커널에 하드웨어 모잘라면 커널을 컴파일하던지, 모듈을 컴파일해서 설치해야 합니다

이건 컴 안 바꾸어도 하드웨어만 추가해도 필요할 수 있는 작업입니다

다만 특별한 하드웨어 안 쓰는한 보통은 필요 없어요
엠브리오 2021-09
이더넷 디바이스 이름 변경.
MAC 어드레스 변경
HDD의 blkid 변경

뭐 대충 기억나는건 이정도로군요.
송주환 2021-09
1. hostname 변경
2. network-scripts의 스크립트 이름 변경 및 UUID 제거
3. 부팅이 안 될 경우 recover mode로 부트 후 initramfs 재작성
4. CPU를 업그레이드 한 경우, 최소 지원 커널 버전 확인 후 커널 업데이트. 배포판을 사용할 경우 버전을 올려야 할 수도 있습니다.
5. 신형 장치가 안 올라올 경우, 드라이버 지원 확인이 필요합니다. 해당 드라이버가 커널의 메인라인에 있다면 커널 버전을 올리는 것으로 지원이 가능하며, out-of-tree라면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소스코드를 직접 컴파일해야 합니다. 가끔 엔비디아처럼 proprietary driver를 제공하는 경우가 있으나, 아주 드물며, 지원되는 커널 버전이 한정됩니다.


QnA
제목Page 708/5725
2015-12   1769314   백메가
2014-05   5243937   정은준1
2021-09   2231   공백기
2021-09   3113   여수I완스
2021-09   2291   겨울나무
2021-09   4070   데이빗SYS
2021-09   2056   봉구다
2021-09   8607   테츠
2021-09   4570   행복하세
2021-09   1973   화란
2021-09   6025   반성만
2021-09   1940   가빠로구나
2021-09   2987   미친감자
2021-09   3022   묵향ll김기준
2021-09   5269   fnfn
2021-09   3506   어훕
2021-09   2214   PCMaster
2021-09   2612   inasian
2021-09   4265   술이
2021-09   3144   VSPress
2021-09   2133   헥사코어
2021-09   1681   바람곰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