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65068 |
0 |
2014-05
5265068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90056 |
25 |
2015-12
1790056
1 백메가
|
108738 |
슈퍼마이크로 CMOS 셋업에서 SCU 장치가 안 보이는데 정상인가요? (6) |
나우소래 |
2023-07 |
2905 |
0 |
2023-07
2905
1 나우소래
|
108737 |
z840 3070장착 조언 부탁드립니다 (15) |
상어알 |
2023-07 |
2376 |
0 |
2023-07
2376
1 상어알
|
108736 |
mesh commander 설치파일 구합니다. (5) |
미친감자 |
2023-07 |
2680 |
0 |
2023-07
2680
1 미친감자
|
108735 |
40g 전용 스위치는 1g 어떻게 연결하나요? (9) |
마왕 |
2023-07 |
2065 |
0 |
2023-07
2065
1 마왕
|
108734 |
가상 환경에서 Synology 와 Windows 의 볼륨 확장 (2) |
witbox |
2023-07 |
1913 |
0 |
2023-07
1913
1 witbox
|
108733 |
Winxp에서도 사용할 수도 있는 하드디스크 용량은? (3) |
머라카는데 |
2023-07 |
2283 |
0 |
2023-07
2283
1 머라카는데
|
108732 |
redundant power distribution unit 설계해주실수 있는부? (13) |
MikroTik이진 |
2023-07 |
2692 |
0 |
2023-07
2692
1 MikroTik이진
|
108731 |
10G랜 PC-PC 다이렉트 연결시 전송속도 질문드립니다. (25) |
소리사랑 |
2023-07 |
4879 |
0 |
2023-07
4879
1 소리사랑
|
108730 |
배터리 문의입니다. (4) |
수퍼싸이언 |
2023-07 |
2442 |
0 |
2023-07
2442
1 수퍼싸이언
|
108729 |
인텔 vs tsmc (15) |
스무프 |
2023-07 |
2425 |
0 |
2023-07
2425
1 스무프
|
108728 |
테스터기들 사용처 질문드립니다 (16) |
Uinx |
2023-07 |
2407 |
0 |
2023-07
2407
1 Uinx
|
108727 |
노트북에서 디슨플레이 문제 (2) |
최시영 |
2023-07 |
2191 |
0 |
2023-07
2191
1 최시영
|
108726 |
KT인터넷인데, IP를 완전히 다른 것으로 바꾸는 방법 있나요? (11) |
알라뷰 |
2023-07 |
2361 |
0 |
2023-07
2361
1 알라뷰
|
108725 |
공유기를 거치면 외부 IP가 달라지나요? (6) |
알라뷰 |
2023-07 |
2395 |
0 |
2023-07
2395
1 알라뷰
|
108724 |
멜라녹스 Mellanox SB7790 연결하는 방법 문의 (12) |
제온프로 |
2023-07 |
2459 |
0 |
2023-07
2459
1 제온프로
|
108723 |
메인보드 칩셋은 왜 CPU와 통합이 안 되는 걸까요? (17) |
마지막세대 |
2023-07 |
2779 |
0 |
2023-07
2779
1 마지막세대
|
108722 |
혹시 의성마늘 구매할 수 있는 곳이 있을까요? (1) |
김준유 |
2023-07 |
1978 |
0 |
2023-07
1978
1 김준유
|
108721 |
아파트에서 접지를 어떻게 해야 할까요? (17) |
iroo |
2023-07 |
6801 |
0 |
2023-07
6801
1 iroo
|
108720 |
기계어나 어셈블리로도 서버를 구축하고 돌릴수 있나요? (26) |
이매망량2 |
2023-07 |
2641 |
0 |
2023-07
2641
1 이매망량2
|
108719 |
메모리 에러 메세지가 계속 뜹니다 (8) |
블루영상 |
2023-07 |
3669 |
0 |
2023-07
3669
1 블루영상
|
관리사무소에 점검 요청해보셔야 겠네요.
집의 전원 플러그가 재대로 접지가 동작하는지 아닌지 비접지인지는 접지테스터기를 구해서 테스트 해보면 됩니다..
여러개의 제품이 있지만 원리는 거의 비슷하기에 최대한 싸게 구하면 됩니다..
https://blog.naver.com/pkw00/220181730996
DMM으로 채크하는 법도 있지만 좀 위험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접지 공사는 기인이 그냥 선만 잇는다고 되는 것이 아닙니다..
기사 자격증을 가진 전문가가 시공해야 하며 돈이 많이 들수도 있고 상황에 따라서는 시공이 불가능할 수도 있습니다..
접지콘센트 없던 90년대 지어진 아파트들도 분전함(두꺼비집)까지는 접지선이 들어와 있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콘센트 한쪽의 접지 선 (녹색)이 끊어져있거나 인테리어를 진행하면서 빼놓은 경우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혹은 접지는 정상적으로 되어있는데 콘센트 일부에서 접지쪽으로 누전이 있어 찌릿함을 느끼는 상황일 수도 있으니 점검을 해보시는걸 추천합니다.
간혹 하자로 인해 안되어있거나(끊어져있거나) 불완전한 집이 있긴 합니다
멀티테스터로 간단히 확인가능하기는한데...
걍 점검요청한다고 관리사무소에 연락하셔서 점검 받으시고
문제가 있어도 댁내 인입 접지라인이 끊어진게 아니고 댁내에서의 문제면 콘센트까지 선 다시 넣음 됩니다
요비선으로 밀어넣음 되는거라 개인도 충분히 할수 있습니다
내 노트북 어댑터가 접지를 지원하는가? 도 함께 확인해보세요.
거기까지도 접지가 안되어있던가요?
찌릿하는경우 접지쪽 누전이 있을경우는 매우 드물고(이경우 누전차단기 떨어짐)
접지가 제대로 안되어있을 확률이 높습니다. (벽내 접지선이 끊어졌거나 콘센트 내부 접지선이 빠졋다던가 등)
전기전문가나 관리소장에게 문의하는게 젤 나아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