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48982 |
0 |
2014-05
5248982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74299 |
25 |
2015-12
1774299
1 백메가
|
110091 |
내일(금)에 용산에서 샤오미 보조배터리 방문 구매가 가능할까요?? (8) |
블루영상 |
2023-12 |
1566 |
0 |
2023-12
1566
1 블루영상
|
110090 |
바이오스 업데이트 할려고 하는데, 한번에 올려도 문제 없나요? (3) |
pwater |
2023-12 |
2363 |
0 |
2023-12
2363
1 pwater
|
110089 |
ddr5-5600 삼성메모리 문의 (5) |
헌터D |
2023-12 |
1767 |
0 |
2023-12
1767
1 헌터D
|
110088 |
msata 인식 문제 (18) |
옹꾸 |
2023-12 |
3510 |
0 |
2023-12
3510
1 옹꾸
|
110087 |
BlOS 업데이트 문제 (7) |
sungsung |
2023-12 |
2982 |
0 |
2023-12
2982
1 sungsung
|
110086 |
아직도 SSD 안정성 최강은 SATA SSD 인가요? (33) |
Caig |
2023-12 |
2513 |
0 |
2023-12
2513
1 Caig
|
110085 |
소규모 회사 네트워크 구성 문의드립니다. nas, 다수 공인ip (15) |
arbitrage |
2023-12 |
2288 |
0 |
2023-12
2288
1 arbitrage
|
110084 |
(해결,후기) 야탑쪽 pcb mlcc 납땜 가능한곳이 있을까요? (10) |
불고기덮밥 |
2023-12 |
1970 |
0 |
2023-12
1970
1 불고기덮밥
|
110083 |
델 t7920에 3090 2장 설치 문의 입니다. 사진 있어요 (5) |
꼽살 |
2023-12 |
1590 |
0 |
2023-12
1590
1 꼽살
|
110082 |
LG TV 사용하고 있는데 LG 프로젝터를 하나 영입했는데 리모콘은 어떻게? (2) |
유호준 |
2023-12 |
1466 |
0 |
2023-12
1466
1 유호준
|
110081 |
nt900x3t 삼성 노트북 cpu 냉각 팬의 부품 명칭/번호와 구입처를 알고 싶습니다. (13) |
annm |
2023-12 |
2015 |
0 |
2023-12
2015
1 annm
|
110080 |
시놀로지 HDD (4) |
황진우 |
2023-12 |
1226 |
0 |
2023-12
1226
1 황진우
|
110079 |
z640 메모리 업그레이드 및 라이져카드 장착시 (2) |
블라블라 |
2023-12 |
1882 |
0 |
2023-12
1882
1 블라블라
|
110078 |
디포그 랙에 APC 0u 수직 PDU 장착이 가능한지 혹시 아실까요? (1) |
홀릭0o0 |
2023-12 |
1448 |
0 |
2023-12
1448
1 홀릭0o0
|
110077 |
서버랙 구매시 레일킷 등 고려사항이 궁금합니다. (4) |
kyile |
2023-12 |
1798 |
0 |
2023-12
1798
1 kyile
|
110076 |
OS 설치 후 설치한 디스크와 다른 디스크를 레이드 구성? (10) |
L2스위치 |
2023-12 |
2082 |
0 |
2023-12
2082
1 L2스위치
|
110075 |
안녕하세요, 야외 환경에서 사용 가능한 모니터에 대해 여쭤봅니다. (3) |
LPYY |
2023-12 |
2321 |
0 |
2023-12
2321
1 LPYY
|
110074 |
중국 브랜드 송풍기(블로워) 추천 부탁드립니다. (7) |
서울I김동수 |
2023-12 |
1780 |
1 |
2023-12
1780
1 서울I김동수
|
110073 |
엣지브라우저에서 네트워크 프린트 (9) |
gngngng |
2023-12 |
1409 |
0 |
2023-12
1409
1 gngngng
|
110072 |
무선마우스가 끊김현상(리시버 사용) (5) |
chotws |
2023-12 |
2449 |
0 |
2023-12
2449
1 chotws
|
PCIe Lane대비 가장 많이 뽑을 수 있고, 저렴하고, 구형부터 무난하게 다 호환되니 쓰는거라 봅니다
요즘 도입되는 Storage 서버라면 PCIe용 박힙니다
냉각문제는 팬 도배하던지 팬속을 올리던지 어느정도 차이라면 극복할 수단 많이 있습니다 (저걸로도 안 되면 수냉으로 가서라도 해결 볼껍니다)
그런 경우겠군요.
그럼 SATA가 느린 만큼 발열이 적다고 보기는 어려운 거겠지요??
결국 팬 달꺼면 발열 심해져봤자 더 빠른 팬 달면 된다 수준의 문제가 되버립니다 (어차피 렉용 서버가 소음 신경 쓸리 만무)
부품 온도는 다테노님 말씀주신거처럼 문제는 거의 되지 않고 사용자 부주의 혹은 컨트롤러 오류로 죽는게 더 많습니다
플래쉬 메모리를 사용하는 SSD 들은 수명이 있습니다..
그나마 제품화 된 것들 중에서 돈에 상관하지 않고 안정성 높다라고 보여지는 것들은 기업용 (엔터프라이즈) 제품들 입니다..
일반 국내 시장에서는 보기가 힘듭니다..
보통 스토리지나 벤더의 제조사들에 OEM으로 들어 있기는 합니다만 이런 제품들은 단품으로 팔리는 일은 적고 솔류션 단위로 팔린다고 보시는게 맞습니다..
만일 있다고 해도 재고가 잘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제품 스팩 같은 것 찾을려고 해도 삼성 미국 사이트 가야 하고 실제 국내에서 삼성 엔터프라이즈 SSD 필요한 회사는 미국이나 다른 해외에서 수입합니다..
벤더사에서 나오는 기업용 SSD들은 옛날부터 가격이 장난이 아니였습니다..
정품 새것 정식 가격이 1개에 돈천만원 넘는게 수두룩합니다..
아마존 삼성 공식에서 팔고있는것 같은데 이게 맞을까요...????
AS는 포기해야 할 듯하고요.. (국내에서 AS받으려면 국내 총판에서 구입해야 합니다..)
SM883 모델을 찍은 이유가 따로 있으신가요??
https://semiconductor.samsung.com/ssd/
https://semiconductor.samsung.com/kr/ssd/
삼성 SSD는 엔터프라이즈용과 데이터센터용으로 좀더 세분화시켜 놓았네요..
다나와 뒤져 보니 그나마 960GB 제품은 제 마음에 드는 것은 이것 정도 밖에 없네요..
올려주신 링크에서도 나오길 dwpd가 제일 높은 편에 mlc 기반이어서 선택했었습니다.
리테일용은 조금 무서워서 선택하기가 어려워지네요 ㅎㅎㅎ....
거기에 따라서 레이드 같은 장비가 필요할 수도 있고 HDD 1개 만으로 충분할 수도 있고 그렇습니다..
조금 더 심해지면 건물 하나에 4U 스토리지서버 1,000대정도씩 채우고 고속네트워크로 묶고 가상 스토리지를 구축하는 것도 있습니다..
수천대 넘게 팔렸을 겁니다..
저는 거기에 들어가는 서버 깡통을 1년에 600대 정도 팔아본 경험이 있습니다..
그런 곳을 직접 보는 것만으로도 압도될 것 같습니다
SATA 6G
SAS 6G/12G
정도가 있고 SAS 12G가 SATA 6G 보다는 인터페이스 성능이 더 좋지요..
현재 SAS나 SATA 나 그 다음 세대 제품들이 나오지 않고 정체되어 있습니다..
대신 갑자기 PCIe 를 직접 연결하는 NVME SSD가 나와서 기존의 SATA /SAS 인터페이스의 몇 배 이상의 성능을 지니게 되었습니다..
현재 NVME의 문제점은 디바이스가 열이 많이 나기에 충분한 쿨링 솔류션이 필요하다..
여러개의 NVME를 연결하는데 (확장하는데) 한계가 있다..(시스템에서 많은 PCIe 레인을 구축하는 것이 쉽지 않다..)
RAID로 묶을려고 해도 RAID 콘트롤러가 아직 재대로 개발되지 못해 RAID 묶는데 한계가 있다 정도 입니다..
NVME를 위해서는
레인 / 발열 / 레이드 컨트롤러 이 3박자가 맞아야 하지만, 그것이 아니라면 SAS 가 유효하다는 뜻이겠네요!
U.2 24개를 지원하는 케이스라고 하면 PCIe 레인이 96개가 필요합니다..
이를 다이랙트로 지원하는 시스템은 대략 제온 스케일러블 이나 AMD EPYC 부터 시작한다고 봐야 합니다..
그리고 이것을 2단 3단 식으로 엮지 못합니다..
대신 SAS는 SAS EXPANER 라는 솔류션을 이용 대략 256개의 SAS 디바이스를 콘트롤 할 수가 있습니다..
보통은 여러 한계에 의해 100개 정도의 디스크 드라이브를 연결하는 것이 최대입니다..
레이드카드를 쓰자니 PCIE 16배속 대역폭 문제로 U.2 디스크 4개이상 물리면 성능 정체가 되어버립니다.
성능 무시하고 연결한다면 32레인 트라이모드 컨트롤러를 이용해서 레이드카드 1개에 U.2 디스크 32개까지 연결 가능하기는 합니다.
물론 최대 성능은 16배속에 제한됩니다.
최근은 U.2 와 U.3로 가는 것 같습니다.ㅣ
일전에 렌더팜에 870 EVO를 30대에 모두 운영체제용으로 사용했었는데.
이게 1년도 되기 전에 다 죽어... 아주 그냥 XX 였습니다.
그 뒤로 OS용도 1테라짜리 하드로 바꿔버렸습니다.
그리하여 더욱더 기업용 ssd로 pm897을 알아보는데, 아마존 삼성 정품 스토어에서 팔더라구요...
가격은 일반 ssd의 5배 6배 수준...
Optane SSD U2 를 구입하세요
가격은 일반 SSD에 비해서 많이 …. 아주 많이. 비쌉니다
그정도의 물건을 감당할 그릇이 아닌 곳이긴 한데..........
말씀해주셨으니 옵테인 u2도 알아보겠습니다!!!
U.3 타입의 NVMe Gen4 세대가 주력으로 가고 있습니다
작년대비 Gen3에 비해 가격도 절반정도 하락되었고요
그래도 기업용이라는 이름값 때문인지
가격이 아직도 사악힙니다
리테일이 테라당 태략 15만원 이상일꺼고
벤더가 40만원 이상입니다
기업용이다보니 삼성 pro 라인과 비교해봐도
TBW가 많은건 근 10배 차이나기에
삼성 컨슈머용 라인을 db서버등에선 않쓰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2.5인치 NVMe가 용량 깡패다보니(요즘 나오는게 근 20테라)
가격이 사악해서 그렇지 sas 10K 하드들도 점점 않쓰는 추세로 보여집니다
그 중에서도 pm897 이 괜찮아 보이길래......
이유인즉슨 조그만한 사업장에서 db 서버로 쌓인 데이터가 1.2테라가 채 안되더군요. 새로이 조립서버를 운영할 계획이다 하여 겸사겸사 알아봐주고 있는 중입니다!!
U.2는 인식도 못하면서 SATA SAS를 지원하는 바보 스펙인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