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는 TSRN 뭐 이렇게 종류로 나눕니다.
R + N = 220V, S + N = 220V, R + N = 220V, T + S + R = 380V 입니다.
보통 3상이라고 하면 TSRN 입니다.
여기서 고압은 100A이상 이라고 보시면 될겁니다.
저압은 100A 이하 라고 보시면 됩니다.
보통 가정에서 사용하는 220V는 30A정도 보시면될겁니다.
신청 용량 보다 많이 사용하면 누진세가 붙습니다. 하하하 요금 따따블임.
힌트 ;
보통 그랬어 전기를 좀 사용하는 집(아마 상가딸린집인듯함)에서는 3상을 설치 해달라고 합니다.
당근 전기 기본세가 조금 더 나가지요.
그러나 좋은점은요
만약에 30A를 신청 했다고 가정하에 진행합니다.
앞에서 언급한바...
T + N = 30A , S + N = 30A 이렇게 구성이 됩니다.
즉 단상 220V 가정에서는 둘중 하나만 30A 사용합니다.
3상 380V는 두가지의 경우에 각 30A의 용량을 사용해도 요금은 같습니다.
간단한 계산.
컴퓨터 1000W파워 컴퓨터 2대면 약 2A보시면 됩니다.
냉장고 보통 약3000W, 에어콘 약 30A, TV각 120W * 2, 세탁기, 전등, 기타 등등 포함하면 가정집은 약 20A사용 합니다.
진짜 집에 아무것도 없는집은 3K, 집에 사람좀있다 하면 10K, 좀더 있다 하면 15K 이정도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전기 용량입니다.
회원분들중에 몇분 계신던데요.
렉에 서버 몇대씩 가지고 계신분들은 3상전기를 신청하시는것이 전기세를 많이 아낍니다. (즉 누진세가 안나옴)
앞에서 말한 바와 같이 각 라인별로 용량을 사용하기 때문에 많은것을 사용 할수 있습니다.
잘못 설치 했어 한 라인에만 많은 전기를 물린다면..
예)
기본 정기 신청 30A.
T + N = 10A, S + N = 40A 이렇게 되면 10A초과 요금이 나옵니다.
근데 T + N = 25A, S + N = 25A 이렇게 하면 30A 이내 이기 때문에 기본 요금만 내면 됩니다.
결론...
전기도 알고 사용하면 돈 아낍니다.
행설 수설 이였습니다.
===============
하하 오류 부분 수정좀 했습니다. (수전압 애기는 아닙니다.)
S+N=220V
T+N=220V
R+S=380V
S+T=380V
T+R=380V
가정집에는 3상을공급해 주지 않습니다
공장으로 등록하고 허가를 받은 경우에 한해서 해줍니다
고압은 22라인이나 154를 고압이라고 합니다
380V는 저압 입니다
직류는 700V 부터 고압으로 분류 합니다.
대용량 부하를 사용하는 공장에 상간 부하전류를 체크해서 분할해 주면 전기요금이 적게 나옵니다
가능하게 되죠. 고로 RN,SN,TN은 상전압이고 RS ST TR은 선간전압으로서 상전압보다 root3배 전압이 높습니다.
220에 root3 을 곱하면 380이 되는 거죠.
보통 380볼트는 전기적파워를 필요로 하는 동력용입니다. 엘리베이터라든지, 대형냉동기계라든지 (일반가정집에서는 거의 안쓰이구요)
220볼트가 우리가 흔히 볼수있는 전원입니다. 전열,전등용, 소형동력등등.
그리고 고압은 AC : 600~7000V DC: 750~7000V 이고
저압은 AC600이하, DC750 이하이고, 7000V이상은 특고압입니다.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220V로 보자면 전압은 220V고정이므로 전기를 많이 사용하게 되면 전류의 수치가 커지고
예를 들어 20A를 사용한다면 220*20=4400와트를 사용하게 되므로 시간당으로 계산시 4.4kwh가 되는거죠
일반 가정집에서 20A에 풀로 사용하면 시간당 4.4kwh가 되므로 전기 엄청나게 사용하는겁니다.
하루24시간*4.4kwh*30일 계산하면 웬간한 규모의빌딩에서 사용하는 전력량입니다.
가정집에서 사용하는 평균전류치가 몇A내외겠지요. 220V*1A*1hour=0.22khw
0.22*24*30=158.4kwh 네요. 한달 1A로 꾸준히 사용시 158.4kwh입니다.
가정집에 들어오는 전기는 단상AC220이므로 두꺼비집에 잘보시면 2라인들어와있고 누전차단기 설치되어있고
외함에 접지 이렇게 되어 있을겁니다.
PT비와CT비 계산하여 전력량계로 계산합니다.
물런 A수가 높으면 총사용전력이 커지고 결과적으로 전력량계에 많이 적산이 되겠지요.
전기신청은 KWH의 단위로 신청합니다. 전력계약이라고하죠.
조금 쉽께 풀어 보편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단위를 사용하면 얼마나 좋을까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화재의 70%가 전기로 인한 화재이고, 누전에의한 감전사고등
위험한 에너지이기 때문에 정확하고 확실한 측정 및 계산을 위해 조금 복잡한게 아니라 많이 복잡하죠.
더구나 상식적으로 알고 있는 DC의 개념이 아니고 통상 사용하는전기는 전부 AC의 형태이다 보니 그렇기도 합니다.
단독주택의 경우 단상 변압기가 많습니다. 아파트의 경우 3상4선식으로 380V는 엘리베이터 동력용, 소방설비용등으로 쓰입니다.
단상 2선식, 단상3선식, 3상3선식(delta,V결선) 3상4선식(Y결선) 등등이 있습니다.
그리고 송전에는 delta 결선을 주로 사용하고 배전에는 Y결선이 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가정집은 단상2선식이 거의 대부분이고, 단상3선식인 경우도 있습니다. 이경우 A,B,N상이 있어서
AB일때 220V, AN,BN은 110V가 일반적입니다.
전압은 3상인경우 380,220 단상인경우 220V 가 일반적인 경우지만, 공장의경우는 3.3kv ,6.6kv, 22.9kv , 20kv, 25kv, 66kv등 전압의 종류가 다양합니다.
그리고 변압기의 탭조정으로 인해 어느정도 범위내에서 전압조정이 가능합니다.
상식 글인데 잘못된 상식이였네요
보통 3상은요 380v기준하면 r,s,t 가 상이라고 하고요 쉽게 말하면 +라고 보시면 되요
( 단지 교류라서 +-를 1초에 60번 변화 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또 n상이란게 있는데 이건그냥 0v라고 보시면 되요 두 선이 이어져야 전기가 흐르겠죠
(접지와 다른 개념입니다.)
R, S, T상 중에 어느 한 선과 N상이랑은 220v나옵니다.
그런데 R, S, T상 중에 두 선이랑은 380v나옵니다.
이유는 220+220=440이 아니구요 220x루트3=380v 나옵니다.(루트3=1.73정도 입니다.)
루트3인 이유는 R, S, T각 상들이 120도 간격을 두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해 하시려면 먼저 백터를 알아야는데 쉽게 이해 하시려면 두 사람이 본인과 120도 각도 차로 서서 팔을 잡아당기면
두배의 힘으로 당겨지는 것이 아니란 것을 아실 겁니다. 이 때 120도 각도를 수학적으로 계산 하면
루트3(약1.73)가 나와서 220x루트3=380v 나오게 되는 것입니다
전공이 전기공학인지라 간만에 로그인 하고 리플 달고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