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2 |
DC인두기 완성... (7) |
소주한병 |
2014-05 |
18246 |
5 |
2014-05
18246
1 소주한병
|
161 |
슈마 743케이스 에어 덕트 자작 도전 (7) |
김기룡 |
2014-05 |
14718 |
7 |
2014-05
14718
1 김기룡
|
160 |
납연기흡입기를 만들어 봤습니다.. (5) |
소주한병 |
2014-04 |
19729 |
6 |
2014-04
19729
1 소주한병
|
159 |
Gen8에 여름을 대비해서 액티브팬을 달아봤습니다.. (10) |
송진현 |
2014-04 |
13057 |
6 |
2014-04
13057
1 송진현
|
158 |
간만에 뻘짓하였습니다. NEOGEO USB JoysticK (5) |
sauoory |
2014-03 |
10743 |
6 |
2014-03
10743
1 sauoory
|
157 |
HP gen8 Microserver의 옥탑방에 SSD를 깔끔하게 달아주자 (11) |
대발이 |
2014-03 |
17053 |
11 |
2014-03
17053
1 대발이
|
156 |
HP gen8 Microserver의 옥탑방에 SSD를 깔끔하게 달아주자 |
친절한쿠키씨 |
2014-03 |
11245 |
5 |
2014-03
11245
1 친절한쿠키씨
|
155 |
[수리]그래픽 카드 GPU 히팅질을 위한 가드 제작 (18) |
monan |
2014-03 |
16167 |
7 |
2014-03
16167
1 monan
|
154 |
[납땜] 보드 SMD 부품 땜질하기 (18) |
박문형 |
2014-02 |
17286 |
5 |
2014-02
17286
1 박문형
|
153 |
작업용 led 스텐드개조 (4) |
김판구 |
2014-02 |
22208 |
6 |
2014-02
22208
1 김판구
|
152 |
접사랜즈?? (9) |
김판구 |
2014-02 |
13993 |
6 |
2014-02
13993
1 김판구
|
151 |
포맥스 ITX 케이스 (38) |
봉주룡 |
2014-02 |
31421 |
8 |
2014-02
31421
1 봉주룡
|
150 |
P410 브라켓 방열용 홀 추가 (7) |
안테나 |
2014-02 |
13823 |
6 |
2014-02
13823
1 안테나
|
149 |
P410 브라켓 방열용 홀 추가 (4) |
경박한시민 |
2014-02 |
7474 |
6 |
2014-02
7474
1 경박한시민
|
148 |
나무파내기 & 자작집진기로 청소 ㅎ (6) |
김복동 |
2014-02 |
46582 |
6 |
2014-02
46582
1 김복동
|
147 |
조명등 제작 (11) |
sinabro |
2014-01 |
56570 |
6 |
2014-01
56570
1 sinabro
|
146 |
커피 드리퍼 및 서버 받침대 제작 (4) |
sinabro |
2014-01 |
41765 |
4 |
2014-01
41765
1 sinabro
|
145 |
인터넷검색용 PC 자작 (4) |
봉주룡 |
2014-01 |
49477 |
6 |
2014-01
49477
1 봉주룡
|
144 |
책꽃이 컴 itx 개조 (6) |
sinabro |
2014-01 |
73512 |
5 |
2014-01
73512
1 sinabro
|
143 |
ssd 전원sata 커넥터 흔들림 고정 (2) |
sinabro |
2014-01 |
59246 |
5 |
2014-01
59246
1 sinabro
|
저런 백열등 형태의 전구의 경우 확산각이 생각보다 많지 않은거 같습니다.
저두 저 타입 LED 등이 2개 있는데 안쓰는 이유도..... 폭넓게 빛을 확산시켜주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넓은 판넬 처럼 생긴 LED 등을 활용해보시는게 더 좋을거 같습니다.
근데 LED 조명기구를 나무로 만드신건 좋은 아이디어네요... ^^
인근마트나 다이소에 판매하는 은박접시 3개를 구매하셔서
리셉터클과 나무사이에 물려 등갓대용으로 사용하시면 빛반사 확산각에 도움이 될거같은데요.
...
그림자도 3개씩 생깁니다. 적응하려면 시간이 걸릴 듯 합니다.
한국은 전반조명이고 미국은 부분조명입니다.
따라서 우리는 밝고 환한 것을 좋아하고 그러다 보면 주광색(색온도 6500k대)의 사용이 많습니다.
미국은 부분(국부)조명방식이라 이건 낮은 색온도(3000k대)를 사용하는게 훨씬 편하고 좋습니다.
일반 백열등이나 3파장 또는 형광등에 비해 스팩트럼 쏠림이 좀 심한 것으로 압니다. (요즘 LED등은 어떤지 모르겠네요)
스팩트럼이 쏠리면 직접 보면 무지 밝아보이지만 실제 사물에 비친 빛은 상당히 어둡습니다.
따라서 아직까진 LED등은 가급적 간접조명이나 전시용 스팟조명용으로 더 적합한 편입니다. 거의 항상 켜져 있는 곳이기도 하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