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MWare] 내장그래픽의 Passthrough 질문입니다.

   조회 10992   추천 1    

 

안녕하세요? 관심가지고 열어봐주셔서 고맙습니다.


질문은 제목과 같은 내장그래픽으로 Passthrough가 되는지 입니다.


이곳 게시판도 봤고 인터넷에도 뒤져보니 잘 안된다는게 결론인듯 싶었습니다.


그런데, 이것저것 찾다보니 내장그래픽이 2개인 보드도 있더군요.


Supermicro에서 생산하는 X11SSZ가 그 경우입니다.


IPMI를 위한 Aspeed AST2400 칩이 달려있고 CPU에 내장그래픽이 있으면 따로 출력이 가능한 것 같습니다.


이럴경우 ESXi에는 IPMI용 그래픽칩셋을 할당하고 CPU에서 지원하는 내장그래픽을 Passthrough로 


VM에 할당가능한게 아닐까 싶은 생각이 들어서 질문 올립니다.


이게 가능하다면... 당장 질러야겠군요.


아, 그리고 내장사운드도 VM으로 Passthrough 가능한가요? ^_^);;

강영준2C 2016-08
요거 메인보드 신기하게 생겼네요

근데 내장그래픽 패스스루 되지않나요? 하나만 있어도?
호스트쪽에 그래픽이 없으면 될거 같은데...

ESXI는 잘모르겠지만
리눅스의 KVM이면 가능할거 같습니다....
xorg쪽 모듈 다 내리고 그래픽쪽 드라이버 내린후에 KVM으로 패스스루...
강영준2C 2016-08
근데 ESXI면 호스트쪽에 그래픽 없어도 되지않나요?
꼭 내장그래픽을 두개를 고집하셔야할 이유가 있는가 해서요...
     
황혼을향해 2016-08
KVM은 한번도 사용해본적이 없어서 걱정이 되지만 가능은 하다니 굉장히 고무적이내요.
절대적이진 않지만 어쩌다 한번씩은 직접 연결해서 살아있나 확인을 해야하는 경우가 있더라구요~ ^_^);;
그리고 CPU쪽 내장그래픽이 VM에 할당가능하다면 모니터 연결하고 USB passthrough해서 웹서핑이나
일반적인 가벼운 작업할 때 사용할까 합니다. 언제든지 켜져있는 저전력머신이면 정말 좋을듯해서요.
          
강영준2C 2016-08
최근에 KVM으로 그래픽 패스스루해봤는데
겁나 안정적입니다 후후..
겜 몇시간해도 멀쩡해요
근데 '안정적' 이게 하는 과정이 좀 험난하더군요

처음에는 그래픽 패스스루 당연히 안됐고
그다음에는 소리가 문제고...
그다음은 USB패스스루가 문제고
그다음에는 IRQ까지 충돌...

어찌어찌 전부 해결해서 지금은 안정화 됐습니다 후후...
          
강영준2C 2016-08
ESXI는 웹으로 체크하는 기능이 없나요?
살아있나 확인하는건 웹으로도 괜찮을거 같습니다.

저도 제 리눅스 서버 작년까지만해도 직접 팀뷰어로 접속해서 살아있나 확인했었는데
지금은 php기반 시스템 모니터링 웹으로 넘어갔습니다...

저 메인보드가 한가지 걱정인게
인텔 내장그래픽을 쓰면 아무래도 IPMI쪽 내장그래픽은 비활성화 될거 같기도합니다.
반대로 IPMI 내장그래픽을 쓰면 인텔쪽 내장그래픽이 비활성화 될거 같기도하구요..

아님 둘다 쓸수 있게 CMOS에 설정이 있을지도 모르지만 그건 저도 잘 모르겠구요...
               
황혼을향해 2016-08
네트워크까지 끊긴상태에서 살아있는지 확인해야하는 경우가 있어서 가능하면 그래픽을 살려놓으려고합니다.
내장그래픽은 슈마홈페이지에 '6.2x DP, 1 DVI-I, 3x independent displays via Intel HD Graphics, VGA port for BMC' 라는
항목이 있길래 둘다 동시에 작동가능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이정도까지 정보를 얻었으니... 이제는 결심하고 지르는 일만 남은것 같습니다. 후후훗...
                    
강영준2C 2016-08
지르시면 후기 부탁드립니다 +_+
macrolide 2016-08
인텔 내장그래픽 passthrough 해본 사람입니다.
호스트 쪽에 그래픽카드 하나도없어도되고요
인텔 내장그래픽은 Xen 그냥도 되는걸로 알고있고
저같은 경우엔 KVM 으로 했는데. 지금 패키지로는 안되고
최신버젼을 직접 컴파일 하셔야합니다. (qemu,seabios 둘다요)
다만 msrs 가 제대로 구현게 있기때문에
간혹 프로그램실행시에는 크래쉬가 납니다. (구현되지않은 msrs를 사용하는 프로그램을 만나면 크래쉬됩니다)
다만 일반적인 사용에는 큰무리가 없습니다. (사무용)
AST2400 는 어떤 제품인지 잘모르겠으나 pcie로 연결되는거 같아 될 가능성은 있어보이지만..
일반적으로 그래픽 passthrough는 일반적인 pcie passthrough와는 달라 아마 안되지 싶습니다..
한국 자료도 없고 영문자료 조금있습니다.

내장그래픽을 이용하면서 가상화까지 하는 쉽게하는방법은
windows 10 pro 이상인 버젼을 윈도우즈를 메인으로 쓰고 Hyper-V 를 이용해서 가상화 VM을 띄우는 방법이있습니다.
이 경우엔 내장그래픽 지원은 완벽하죠  다만 Hyper-V가 약간 구리죠..만 가볍게 사용한다면 굳이 나쁘진않다고 봅니다.
     
강영준2C 2016-08
AST2400은 PCIE 2.0 X1으로 작동합니다
근데 요놈은 IPMI콘솔용이라 PCI패스스루하면 큰일날거 같은놈입니다

현재 PCIe 패스스루로
AMD Nvidia 둘다 가능합니다
AMD는 별다른 설정이 필요없지만
Nvidia는 쿼드로류가 아니면 드라이버 단에서 못쓰게 막더군요 (Code 43)

물론 회피법이 이미 많이 알려져있어서 잘됩니다


제목Page 77/130
2015-12   1768186   백메가
2014-05   5242837   정은준1
2016-10   6567   chotws
2016-10   9851   박완경
2016-10   12628   Chei
2016-09   9634   후닝이
2016-09   20172   강물처럼
2016-09   5623   마녀
2016-09   6490   오월의행복
2016-09   6962   쿠니
2016-09   7083   슬픈윈드
2016-09   10913   오핫핫
2016-09   14086   팬도라
2016-09   15550   슬러그
2016-09   23550   newprojectb
2016-09   8431   깡룡
2016-09   9802   단팥
2016-09   7540   ocm10gr2
2016-09   9543   킵고잉
2016-08   8350   냐옹이
2016-08   6090   우야노
2016-08   10993   황혼을향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