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MWare] VMware의 Vsphere, Vclient, EXSi, vCenter 의미가 무엇이고 역활이 무엇인가요?

회원K   
   조회 20627   추천 0    

아무리 봐도 헷갈립니다.

vClient, vCenter가 관리 도구이고,
vSphere, EXSi라는 것이 가상화에 관련된 KVM 같은 것이라는 것 같은데,
vSphere는 뭐고 EXSi는 뭔지. 볼수록 헷갈립니다.

쉽게 이해 가능한 자료나 설명 없나요?

- to be continue -
이은호 2013-05
vSphere : vmware 가상화 인프라스트럭처 브랜드명 (기존 명칭 VMware Infrastructure)
vSphere Client : 가상화 인프라스트럭처 클라이언트 관리 도구
ESXi : 가상화 서버 Hypervisor (쉽게말해 가상화 서버 OS, 이 OS 위에서 각종 가상머신들이 동작합니다.)
vCenter Server : ESXi 서버 또는 ESXi 서버 그룹과 기타 가상화 인프라를 통합 관리하는 매니저 서버
     
회원K 2013-05
감사합니다.
이정도로 이해하면 될까요?

vSphere... 브랜드명.
vSphere Client ... 관리도구 (공짜)
vSphere Server ... 관리도구 (유료)
ESXi : 가상화서버를 만들어주는 도구 (OS위에 설치하면 가상화를 가능하게 해주는거)
참치찌개 2013-05
다소 구체적으로 말씀드리면

vSphere Client는 윈도에 깔아쓰는 관리용 어플리케이션입니다.
개별 ESXi 호스트의 아이피로 접속합니다. 무료 에디션의 사실상 유일한 관리수단입니다.

여러개의 ESXi 호스트를 통합 관리, 호스트간 VM 라이브 마이그레이션, 웹상에서 관리 같은 고급 기능을
쓸 수 있는 것이 vCenter Server입니다. 이것은 공짜가 아닙니다.
     
회원K 2013-05
1개의 물리적 서버에 1개의 EXSi 호스트를 설치가능한거죠?

1개의 물리적 서버에 2-3개의 EXSi 호스트는 설치하거나
2-3개의 물리적 서버에 1개의 EXSi 호스트를 설치하는 것은 안되구요?

1-2대 정도 가상화 서버를 운영하는 경우 vSphere Client만 설치해도 될 것 같은데
그런 경우에는 기업도 공짜인가요?? VMware 자료를 봐도 헷갈리더라구요.
          
이은호 2013-05
물리적 서버를 호스트 서버라고 하는데
호스트 서버의 OS가 ESXi라고 보시면 됩니다.
1개의 호스트 서버위에 다수의 게스트 서버(가상화 서버)들이
호스트 서버의 자원을 분할하여 사용하는 구조입니다.

호스트 서버를 1개만 구성하실 계획이시라면,
호스트 서버에 ESXi 설치하시고, 관리를 위하여 vSphere Client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게스트 서버가 여러개라고 해도, 호스트 서버가 1개 뿐이라면 사실 vCenter 까지는 필요 없습니다.

또한 ESXi는 기본적으로 무료입니다. 기업도 마찬가지입니다.
단지 ESXi에서 사용할 수 있는 라이브 마이그레이션이나 고가용성 등의 고급기능을 사용해야한다면
적합한 라이센스를 구매하셔야합니다.

라이선스 정책은 제품기능에 따라 제품군이 나뉘며(에센셜, 에센셜+, 스탠다드, 엔터프라이즈, 엔터+)
CPU 소켓수와 램 크기에 따라 제품을 수량 구매해야 합니다.(이 것 때문에 쫌 복잡하죠)
               
회원K 2013-05
감사합니다. 덕분에 며칠을 끙끙 거리던 것이 쉽게 이해 되었습니다.
VMware는 쉬운 말을 너무 어렵게 하는 것 같아요.

vSphere-hypervisor를 설치하고 (이것이 EXSi 맞나요?)
https://www.vmware.com/kr/products/datacenter-virtualization/vsphere-hypervisor/overview.html

관리를 위해서 workstation을 설치하고 (30일 평가판 이후는 유료인데, 그렇게 안비싸네요)
http://store.vmware.com/store?Action=DisplayPage&Env=BASE&Locale=en_US&SiteID=vmware&id=ProductDetailsPage&productID=221027300&resid=UFj-YwoBAlgAACHjJo0AAABP&rests=1348009827146

호스트 서버를 2-3대 운용할 예정인데 (DB 호스팅, 웹호스팅, 기타 호스팅)
vSphere Center는 무난한 것 같습니다. 3대까지 가능한 라이센스를 사는 경우.
http://store.vmware.com/store/vmware/en_US/DisplayProductDetailsPage/productID.233867900
               
회원K 2013-05
vSphere-hypervisor (EXSi)를 리눅스 서버에 설치하고
vSphere Client를 제 PC에 설치하면 되나요?
아니면 vSphere Client도 리눅스 서버에 설치해야 하나요?

설치순서는 어떤 순서로 해야 할까요?

OS 설치 (CentOS) - vSphere Hypervisor - vSphere Client가 맞나요?
                    
배주규 2013-05
예전에 잠깐 써봐서 자세히는 모르지만...
hyperviser(EXSi) 자체가 OS라고 보심 됩니다.
리눅스 위에서 돌아가는게 아니에요.
요넘은 깔면 다른 기능은 하나도 없고, vm들을 구동시키는 역할만 합니다.
용량도 작고 vm생성 및 관리 이외에는 하는게 없어서 USB메모리에 깔아도 잘 돌아갑니다.(4기가면 충분합니다)

그다음에 vSphereClient를 윈도pc에 설치하고요.
hyperviser에 네트워크로 접속해서 사용합니다.
화면 디자인만 다르지, 로컬에서 vmware workstation사용하는거랑 비슷합니다.

그리고 요넘들은 vmware workstation과는 틀립니다.
workstation에서는 호스트머신에서 vm생성 및 구동과 관리를 다 하지만...
EXSi는 요걸 구동머신과 관리머신을 따로 구분해 놓은거라 보심 됩니다.
vsphere server는 유료라 저도 못써봐서 모르겠네요...
                         
회원K 2013-05
KVM은 CentOS (RHEL) 위에 설치되고 그 위에서 동작하는 것인데
hypervisor는 모든 것을 싹 지워버리고 그 위에 올려야 하나요?
검색을 하다가 보니, 윈도우의 경우 그 위에 설치를 하기에
CentOS 설치된 것 위에 올리는게 가능하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workstation = EXSi (HyperVisor) + Client 가 되겠네요.
배주규 2013-05
댓글의 댓글이 더 이상 안달리는군요...

EXSi가 멀티부팅이 되는지는 모르겠고, 일단 리눅스를 밀어야 할겁니다.
까먹었지만 하드 화일시스템도 다를거고요.

hyperviser는 부팅되면, "나 부팅했음. 아이피 xxx.xxx.xxx.xxx"라고 보여주는게 땡이고요.
직접적인 입출력은 안받습니다.
오로지 client에서의 접속만 허용합니다.
kvm은 필요없을거 같네요.
아마 따로 머신을 준비하는게 나을겁니다.

그리고 workstation에서 사용하던 vm화일을 EXSi에 밀어넣고 돌려도 잘 돌아갑니다.
     
회원K 2013-05
EXSi를 ISO로 제공한다고 하니, 밀어야 하는 것이 맞는 것 같습니다.
난감하네요.
pranludi 2013-05
hardware -> exsi -> vm ( linux, solaris, windows , ... )
vclient : exsi, vm들을 관리하기 위한 윈도우즈용 툴( vm 생성, 설치, exsi 설정, 스토리쥐 관리, ... )
vcenter : exsi 가 여러개(하드웨어) 있을때 복합적으로 관리하는 툴 ( db 필요함 )

움;; 전 대충 이렇게 이해하고 씁니다만 ^^;;
     
회원K 2013-05
맞는 것 같습니다.
그런 것 설명은 없이 모두 exsi 설치. 그것만 잔뜩 설명되어 있더라구요.
김도일 2013-05
vSphere는 위에서 알려주신 바와 같이 브랜드명이고

ESXi : vm 가동만을 위한 최소화한 OS. vSphere-hypervisor는 그 중 하나. OS이므로 컴 한대 점유
        vmware workstation은 os가 아닌 어플리케이션

vSphere Client : ESXi 설치한 컴은 NAS처럼 직접 제어가 안됩니다. NAS는 웹으로 접속해서 설정하는데
                      ESXi는 윈도우상에 vSphere Client 설치하고 접속해서 가상머신 생성, 설정 등...관리합니다.

vCenter Server  : ESXi 설치한 컴이 많을 경우 편의 및 고급 기능을 위한 통합 관리 서버.


설치는 서버에 os(vSphere-hypervisor) 설치하시고 접속할 pc에 vSphere Client 설치하시면 됩니다.


윗 글에서 "호스트 서버를 2-3대 운용할 예정인데 (DB 호스팅, 웹호스팅, 기타 호스팅)"라고 하셨는데

1. 서버 A = vm DB1 / vm DB2 / vm DB3 / ...
  서버 B = vm WEB1 / vm WEB2 / vm WEB3 / .....
  서버 C = vm 기타1 / vm 기타2 / vm 기타3 / .....

2. 서버 A = vm DB / vm WEB / vm 기타

1/2 중 1번이 맞나요? 2번이면 호스트1에 게스트 3이라 vSphere Client만 있으면 충분합니다.
     
회원K 2013-05
1번 입니다.
더는 장비를안늘리고 가상화로 대응하려고 합니다.
서버를 늘리니 웹서버는 하는 일 없이 놀기만 하고 DB서버만 바쁘더라구요.
가끔 VM 이동이 생길 수 있어서, 어느정도 익숙해지면 상용 구매를 고민중이구요.

서버 A = vm DB1 / vm 개발1 / vm DB3 / ...
서버 B = vm WEB1 / vm WEB2 / vm DB2 / .....
서버 C = vm 기타1 / vm 기타2 / vm DB3 / ....

vSphere-hypervisor가 vm OS중 하나라고 하셨는데, 그렇다면 VMware에서 다른 OS도 있나요?
이거 알수록 점점 더 어렵습니다.
김도일 2013-05
vSphere-hypervisor는 무료배포판인데 솔루션으로 판매하는 제품이 vSphere-hypervisor+기타인지
os 기능 자체가 다른 지는 정확히 모르겠습니다.

vm이동시 라이브 마이그레이션이 필수가 아니시면 무료배포판으로 일단 테스트해보시는 게 어떠실까요...라이센스는 복잡해서 고르기도 힘들 것 같습니다.
     
회원K 2013-05
일단 테스트장비가 들어오면 무료 배포판으로 해야 할 것 같습니다.
VMware는 자료를 읽다가 보면 난독증에 걸리는 것 같아요
이은호 2013-05
일단 VMware에서 O/S 형태로 제공하는 호스트 솔루션은 vSphere Hypervisor(ESXi)가 유일합니다.
그 외의 VMware 호스트 솔루션은 Windows나 Linux, Mac과 같은 별도의 O/S를 기반으로 서비스 또는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제공합니다.(사실 O/S 형태의 호스트 솔루션이 아니면 실제 운영용으로 사용하기 부적합합니다.)

VMware의 호스트 솔루션은 다음 3가지 정도입니다.
1. VMware vSphere Hypervisor = 별도의 기반 O/S 없이 물리적 서버에서 직접 구동되는 O/S형 호스트
2. VMware Server = Windows Server O/S 위에서 구동되는 서비스형 호스트
3. VMware Workstation = Windows 계열 O/S 위에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형 호스트

VMware의 가상화 솔루션 이외에도 Citrix사의 XenServer라던지, MS사의 Hyper-V 등 다양한 가상화 솔루션이 존재하지만, 사실상 업계 선두이자 시장 지배자는 VMware죠.

말씀하시는 용도로 사용하신다면,
vSphere Hypervisor 기반 서버 A, 서버B, 서버C
vCenter를 운영할 Windows Server 기반 서버D
정도로 구성하시면 됩니다.
(저 같은 경우 서버D를 Intel G840/8GB RAM/1TB SATA HDD 정도로 운영합니다.)

만약 Live Migration(vMotion)이나 고가용성 확보, Failover 처리 등이 중요하시다면,
전용 스토리지를 구축하셔서 스토리지와 각 호스트 서버를 Fibre Channel/10Gbe/Infiniband 등의 네트워크로 연결해주시면 됩니다.(근데 이것까지 하시면 장비 늘리는 비용 절약 취지에서 벗어나 배보다 배꼽이 더 커지겠죠.;;)
     
회원K 2013-05
이제 완전히 정리가 된 것 같습니다.
Server/workstation은 윈도에 설치되는 서비스형 호스트.

서버 D의 경우에는 딱 그목적으로만 써야 할까요?
개발용으로 같이 쓰면 안될까요?

파이버채널 등등은 좀...
너무 일이 커지는 것 같고. 이정도로 정리해야 할 것 같습니다.

IDC에 3대(A-C). 사무실에 1대(D)

압축하고 계약 만료 되는데로 호스팅 서버를 빼면, 1/4 랙에 충분할 것 같습니다.
          
이은호 2013-05
vCenter로 사용하실 서버D의 경우, 타 용도로 공용 가능하지만
vCenter의 고급기능들을 많이 사용하게 될 수록 용도제한을 두시는게 좋습니다.

vCenter까지 두신다면, 고려하셔야할 사항이 조금 많아집니다.

첫번째로 vCenter와 vSphere Hypervisor와의 연결은 WAN 또는 낮은 속도의 VPN 을 통한 연결보다는 1Gbe 이상의 로컬 영역 연결구성을 권장합니다.
vCenter와 vSphere Hypervisor 간의 기본 데이터 통신량도 무시못할 수준이고, vMotion 같은 기능을 사용하게 된다면 상호 통신량은 어마어마한 수준이 되기 때문입니다.

두번째로 vCenter와 vSphere Hypervisor 간의 연결에 사용되는 네트워크는 서비스망과 분리된 독립적인 네트워크를 사용하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물론 서비스망과 관리망을 하나의 망으로 공용하여 사용할 수 있지만 vCenter를 도입할 수준이라면, 앞서 말씀드린데로 관리를 위한 트래픽량 또한 상당할 것이므로, 게스트 서버가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큰 장애를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서비스망과는 물리적으로 분리된(서로 다른 이더넷 포트 사용) 독립망 구성을 권장합니다.

사무실에서 사용하는 vSphere Client가 설치된 클라이언트A가 VPN을 통하여 vCenter가 설치된 서버D와 연결되는 구성을 권장합니다.
               
회원K 2013-05
관리자인 vCenter와 vSphere가 그렇게 트래픽이 많을 것이라고는 생각 못했습니다.
vCenter가 그정도의 고속망을 필요하게 된다면 vCenter를 IDC에 넣어 두고
원격으로 vCenter에 접속하는 방법을 찾아야 할 것 같은데,
그런 것이 가능할까요? 윈도우 원격 데스크탑을 써야 하나 고민 됩니다.

vCentor와 Hypervisor의 망은 별도 망으로 해야지 안그러면 과금 됩니다.
랜카드 구성도 충분히 고민해야 할 것 같네요.

vCentor도 윈도를 기본 Base로 필요로 하나요?
아니면 그 자체가 OS인가요?
                    
이은호 2013-05
1. vCenter는 Windows Server 계열 O/S(2003, 2010, 2012 등)위에 설치하셔야 합니다.
2. vSphere Client에서 vCenter로 연결할때에는 TCP/UDP를 통하여 연결합니다. 통신 구간내에 방화벽 문제만 없다면 연결 가능합니다.(단 게스트 서버의 콘솔에 접근할때에는 UDP쪽 설정이 조금 필요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말씀하신데로 vCenter 자체가 Windows Server에 설치되니, 원격데스크탑을 사용하시는 것도 한 방법입니다.
                         
회원K 2013-05
그렇다면 windows nt 서버의 license를 사야 하는 부담이 또 생기네요.
삽질스러워도 비용이 없는 KVM을 쓸 것인가.
편하고 좋지만 돈이 많이 들어가는 VMware를 쓸 것인가 하는 선택이네요.
                    
파닥파닥 2013-05
vSphere Client 와 vCenter 간에 VPN 으로 연결하는 방법이나, 상호간 방화벽에서 허용하는 식으로 (만약 접속지점이 한정된다면) 구성하는 것도 아주 나쁜방법은 아니지요.

VMware 기반으로 구성된 모 클라우드 서비스의 경우에도 End-User 에게 SSL-VPN 을 통한 vSphere Client 접속을 허용하는 식으로 구성하고 있습니다.
(과금 등등의 이슈때문에, vSphere Client 으로 vCenter 에 접속해도, 유저한테 권한 있는 서버만 Read-Only 로 열리지만요)
최재훈 2013-05
vClient 라는 명칭은 존재하지 않으며 vSphere client가 정확합니다.
그리고 이번 vSphere 5.1 update 1이 마지막으로 제공하는 vSphere client가 될 공산이 높아지고 있으며,
vSphere Web Client라는 Flash 기반으로만 제공될 예정입니다.

특히 vSphere 5.1 Update 1의 경우 새로 추가된 기능들은 전부 vSphere Web Client에서만 사용이 가능하고
기존 vSphere Client에서는 기능이 아예 없습니다.

예를 들자면 공용스토리지 없이 호스트간 vMotion을 할 수 없습니다.

(호스트 A 로컬스토리지에 있는 VM을 호스트 B 로컬스토리지로 무중단 vMotion의 경우가 한 예 입니다)
     
회원K 2013-05
vSphere Web Client가 앞으로의 관리툴일 되는 것이라면 더 편해지는 것인가요?
          
최재훈 2013-05
무거운 vSphere Client를 구동하기 위한 별도의 컴퍼넌트들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집니다.
(.Net Framework 등등)

즉 웹 브라우저 상에서 모든 걸 컨트롤 할 수 있습니다.
          
김성환1982 2013-05
vSphere client가 OS에서 종속 되는 것 때문에 Web 표준화로 간다고 합니다.
그렇게 되면 개발 비용도 줄고, 심지어 타블렛에서도 관리가 가능 하게 됩니다.
김성환1982 2013-05
VMware와 MicroSoft 사 가상화 솔루션을 비교하면...이해가 쉬울 것 같네요.

VMware : Microsoft
vSphere : Hyper-V
vSphere Client : Hyper-V Manager
vCenter Server : VMM
ESXi4.1 or 5.1 : Windows2008R2 or Windows2012(Hyper-v)
     
회원K 2013-05
감사합니다. VMM = http://lovevirus133.tistory.com/138


제목Page 130/130
2015-12   1776851   백메가
2014-05   5251864   정은준1
2013-05   15823   근성가이
2013-05   24111   회원K
2013-05   22726   hatson
2013-05   49661   hatson
2013-05   9047   hatson
2013-05   10590   회원K
2013-05   10347   agegold
2013-05   10985   김장우
2013-05   9471   shun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