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MWare] Raw Device Mapping(RDM) 설정

hatson   
   조회 49691   추천 6    

예전에 필요가 있어서 해외 포럼 검색하면서 작성한 간단 가이드인데, 필요하신 분이 있으실지는 모르겠습니다.
 
특별한 경우 VM에서 datastore의 VMFS 논리볼륨이 아닌 물리 디스크 디바이스를 그대로 마운트하여 사용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때 사용하는 기술이 Raw Device Mapping. 줄여서 RDM 이라고 부릅니다.
 
다음은 RDM 아키텍처를 나타내는 그림입니다.
 
보시는 바와 같이 VMFS 볼륨에 읽기/쓰기가 직접 발생하지 않고, mapping file이 존재하여
물리디스크(mapped device)로의 주소변환을 담당하게 됩니다. 읽기와 쓰기시에는 VM이 물리디스크에 직접접근하는 구조입니다.
이러한 기술을 통해 물리디스크는 VMFS로부터 자유로운 독자적인 파일시스템을 가질 수 있게 됩니다.
 
다음은 RDM 설정법입니다.
 
1. ESXi의 SSH Server를 Enable 설정
2. ESXi에 SSH로 접속
3. 아래의 명령을 실행하여, RDM으로 연결하려는 디스크의 이름을 찾는다. (이경우 ST3500630AS__9QG3CC60)
 
4. 다음 명령을 실행하여, RDM으로 연결하려는 디스크의 VML_ID를 디스크 이름을 이용하여 찾는다.
(이경우 ST3500630AS__9QG3CC60 에 대한 심볼릭링크인 vml.01000000002020202020202020202020203951473358423630535433353030)

5. 다음 명령을 실행하여 물리디스크를 가상디스크로 맵핑함
 
6. vSphere Client로 ESXi 접속
7. RDM된 디스크를 추가할 가상머신의 [설정편집] 화면으로 이동
8. [하드웨어]탭에서 [추가] 선택 > [하드디스크] 선택 > [기존 디스크 사용] 선택 > 5단계에서 생성한 RDM용 가상디스크 선택
 
9. 가상머신 재부팅
 
추가. 만약 RDM된 디스크를 다른 가상머신과 공유하려면 [설정편집] > [하드웨어] 탭에서 [SCSI 컨트롤러] 선택 > [SCSI 버스 공유]에서 [가상]이나 [물리적]을 선택
 
 
끝~ 입니다. 좋은 밤 되세요~
 
 
ps. 이해를 위해 RDM 아키텍처가 좀더 잘 설명된 이미지 첨부합니다.

회원K 2013-05
이 기법을 쓰면. Disk IO가 큰 DB서버의 경우 직접 Disk IO를 할 수 있을 것 같은데
VM 위에서 해당 disk를 부르는 것과 VM 안쓰고 해당 disk를 부르는 것의 속도 차이가 어느정도 날까요?
     
이은호 2013-05
벤치마킹해보지는 않았지만, 강윤호님과  같은 의도로 RDM을 적용하는 경우를 해외포럼에서 종종 볼수 있었습니다.
          
회원K 2013-05
RDM이란 것을 오늘 처음 봤는데.
이것이 디스크에 충분한 속도를 준다면 DB서버를 가상화 시키는 것이 가능할 것 같아서 질문 드린것이어요.
설명을 읽는 것은 쉬운데. 실전에서도 잘 될까 걱정 됩니다 ^^

R620 1대를 가상화 시켜서, DB서버와 웹서버 3개를 생성하고, DB서버는 RDM으로 disk access를 하게 하면
1대로 4대를 대체할 수 있을것 같다는 생각도 들었구요.
               
이은호 2013-05
헐 혹시나 해서 찾아보니 VMDK가 RDM이랑 성능면에서 큰 차이가 나는것 같지는 않네요.
http://www.vfrank.org/2011/03/22/performance-rdm-vs-vmfs/
http://www.vmware.com/files/pdf/performance_char_vmfs_rdm.pdf
                    
회원K 2013-05
vmware의 자료는 델 2950 + 10k SAS로 한 것 입니다.
오래된 장비라서 생각보다 큰 영향을 안받았을수도 있고, VMDK의 속도가 좋아서일수도 있고.
자료의 신빙성은 좀모호한듯 한데. 영향이 없었다는 사용자의 말이 있으니... 판단하기 어렵네요.
                         
최재훈 2013-05
정확히는VMFS의 버전이 올라가면서 RDM 방식과의 성능차이가 거의 없어져서 그렇습니다...^^
                         
회원K 2013-05
그렇다면 VMFS의 속도가 실제 물리적 디스크의 속도에 근접했다는 것인가요?
최재훈 2013-06
근접이라는 의미보다는 비약적으로 향상이 되었습니다.
VMFS에서 지원하는 성능이 3만 -> 10만 -> 30만 iops 수준으로 올라간게 벌써 4.1 시절입니다.
정영철 2013-11
ㅋㅋ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해외포럼에서 보면 아예 예시가 없고...
명령어로 어떤 방식으로 하라고 하는 설명으로 되어 있어서
직접하면 조금 애매한 곳이 있어 뻘짓을 여러번 하게 되는데....
뻘짓을 줄여주셨습니다.

그리고... 이미지 내의 명령어 부분만이라도 택스트 표시해 주시면 안될까요?
모바일 페이지로 봤을때 이미지가 자동으로 리사이징되어서 PC버전으로 다시 보게 되더군요^^

그리고... 가상 시스템으로 Pass through를 할때..
VT-d를 지원하면 vmkfstools -z 명령어로 맵핑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http://pubs.vmware.com/vsphere-51/index.jsp#com.vmware.vsphere.storage.doc/GUID-ABF52D5B-BF41-42E7-A1A2-531B109B16A3.html
     
     
홍0원0혁 2014-11
잘 배우고 갑니다.
김정윤 2016-01
잘 보고 갑니다!
Olorin 2016-12
잘 배웠습니다 덕분에 Physical to ESXI로 마이그레이션 잘 끝냈습니다.
나노큐브 2017-01
저 RDM하면 헤놀에서 디스크 충돌이 자꾸 일어나는데 왜이런지 알 수 있을까요?


제목Page 130/130
2015-12   1782696   백메가
2014-05   5257881   정은준1
2013-05   21530   회원K
2013-05   20634   회원K
2013-05   15876   근성가이
2013-05   24127   회원K
2013-05   22750   hatson
2013-05   49692   hatson
2013-05   9054   hatson
2013-05   10596   회원K
2013-05   10354   agegold
2013-05   10999   김장우
2013-05   9487   shun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