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43384 |
0 |
2014-05
5243384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68678 |
25 |
2015-12
1768678
1 백메가
|
106452 |
SW 가 HW를 박살낼수 있나요? (18) |
LevinF |
2023-02 |
2478 |
0 |
2023-02
2478
1 LevinF
|
106451 |
인텔x710 랜카드 구매처 (2) |
아이브릿지 |
2023-02 |
1479 |
0 |
2023-02
1479
1 아이브릿지
|
106450 |
아이패드 미니6 c to c 케이블로 외부출력이 안됩니다 (2) |
김영기 |
2023-02 |
1920 |
0 |
2023-02
1920
1 김영기
|
106449 |
[NAS] 시놀로지 통상 ip카메라 2개 기본 지원인데.. (5) |
stones |
2023-02 |
1443 |
0 |
2023-02
1443
1 stones
|
106448 |
건물내 랜선 테스트 방법 있을까요 단선 말고....품질? (13) |
박상범 |
2023-02 |
2692 |
0 |
2023-02
2692
1 박상범
|
106447 |
전기 질문입니다 (10) |
민사장 |
2023-02 |
2242 |
0 |
2023-02
2242
1 민사장
|
106446 |
스위치 허브 교체 해야할까요? (4) |
김민철GC |
2023-02 |
2281 |
0 |
2023-02
2281
1 김민철GC
|
106445 |
DXVA 가속은 DX10 이상 지원하는 글카에서밖에 안되나요? (8) |
LevinF |
2023-02 |
2936 |
0 |
2023-02
2936
1 LevinF
|
106444 |
286 cpu 중에 명기가 먼가요? 아직은 없지만 (7) |
신은왜 |
2023-02 |
3703 |
0 |
2023-02
3703
1 신은왜
|
106443 |
미크로틱에서 특정 외부 IP 차단 (3) |
파리대왕 |
2023-02 |
2751 |
0 |
2023-02
2751
1 파리대왕
|
106442 |
워크스테이션에 3개의 그래픽 카드 장착 시 경고 표시 (24) |
가온누리I강… |
2023-02 |
4973 |
0 |
2023-02
4973
1 가온누리I강…
|
106441 |
SD카드 리더기 전원을 메인보드 쿨러 전원에 꼽아도 되나요? (자문 자답) (5) |
민사장 |
2023-02 |
1898 |
0 |
2023-02
1898
1 민사장
|
106440 |
SXM2 타입 GPU 사용해 보신 분들께 질문드립니다. (5) |
Psychophysi… |
2023-02 |
2180 |
0 |
2023-02
2180
1 Psychophysi…
|
106439 |
랜섬웨어 확장자 aizkhmn (4) |
화란 |
2023-02 |
1929 |
0 |
2023-02
1929
1 화란
|
106438 |
이 부품의 이름은 무엇일까요? (5) |
Psychophysi… |
2023-02 |
1980 |
0 |
2023-02
1980
1 Psychophysi…
|
106437 |
휴대폰 순정펌웨어 복구가 안되는데 커뮤니티가 있을까요? (8) |
키르히호프 |
2023-02 |
3149 |
0 |
2023-02
3149
1 키르히호프
|
106436 |
서버는 처음 써보는데 ssd 인식 문제 (20) |
중독자 |
2023-02 |
3040 |
0 |
2023-02
3040
1 중독자
|
106435 |
HDD, RPM이 높아지면 속도가 빠른가요? (12) |
LevinF |
2023-02 |
5105 |
0 |
2023-02
5105
1 LevinF
|
106434 |
Proxmox USB에다 설치 시 단점이 궁금합니다. (6) |
올닉스 |
2023-02 |
4038 |
0 |
2023-02
4038
1 올닉스
|
106433 |
한 쪽이 막힌 9핀 듀폰 쉘을 파는 곳이 있을까요? (5) |
sasaz |
2023-02 |
2355 |
0 |
2023-02
2355
1 sasaz
|
만약 리소스 충돌이 나면 위치를 서로 바꿔보기도 하고.... 인식이 모두 되더라도 불안정합니다.
어느 카드든 카드 자체의 롬 바이오스가 있는데 이것들이 많아지면 마더보드 바이오스에서 수용하지 못하거나 충돌하게 됩니다..
카드를 인식할때 순서 같은 것도 영향을 미칩니다..
재대도 하려면 제조사에서 원인 파악하고 바이오스 수정 같은 것을 해야 하지만 바이오스 수정이 쉬운 것이 아니고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온보드 비디오라도 있는 보드면 비디오 출력을 온보드로 시도해보라고하겠지만 T7610은 워크스테이션이라 온보드 비디오가 없네요..
온보드 그래픽이면 좋겠는데 사용자가 화면 출력용 그래픽도 욕심내서리
들어오면 확인 해 보겠습니다.
그래픽이나 레이드같은 리소스에 배고픈넘들은 동시 장착시 저게 전부라고 봐주세요
첫번째 CPU 첫번째 PCIe 16배속 슬롯에 화면 출력용 비디오카드를
첫번째 CPU 두번째 PCIe 16배속 슬롯에 첫번째 P100 을
두번째 CPU 첫번째 PCIe 16배속 슬롯에 두번째 P100 을
설치하고 사용할 OS처음부터 설치해봐서 인식을 재대로 하는지 확인합니다..
인식이 재대로 안되면 사용하지 않는 온보드 디바이스 모두를 하나하나씩 디세이블 해가며 인식이 재대로 되는지 확인합니다..
그 외는 카드 위치를 이리저리 바꿔 가면서 해봅니다..
바이오스및 펌웨어가 최신상태일 경우입니다..
그 다음은 온보드 디바이스 다 켜져 있는 상태에서 모든 바이오스 버젼을 올렸다 내렸다 하면서 인식되는지 변화를 확인합니다..
상황에 따라 온보드 디바이스도 디세이블해봅니다..
장비가 단종 장비라서 델 본사에서 기술지원이 될지가 의문이네요..
본래는 델 본사에 문제 의뢰해서 해결하는게 맞지만 아마도 정품 사용 문제나 사용 시스템 모델에서는 P100이 검증되지 않아서
기술지원 안됩니다라고 할 확률이 높습니다..
P100은 본래 제온 스케일러블 1세대랑 맞춰야 하는 것으로 생각하거든요..
https://www.2cpu.co.kr/lec/4499?&page=2
이런 식으로 윈도우즈에서 장치들이 재대로 인식되는지 어떤 PCIe Gen으로 동작하는지 파악은 할 수 있습니다만
문제 있는 시스템에서 저 툴을 사용해서 어디가 문제다라고 잡아줄 수 있는 엔지니어는 마더보드 제조사에서도 얼마 없을 것입니다..
저도 저 툴에 대한 모든 것은 모릅니다..
워크스테이션의 한계와 가능성을 더 경험하게 되는 거 같네요. ^^
드라이버도 베타 oem whql 등 엄청난 드라이버 버전이 있습니다
듀얼 지원되는 드라이버 있으실겁니다
조합입니다
경험 했었습니다 질문자님 의 동일 모델은 아니구요
다른 모델 2가지 합성 조합으로요
감사합니다.
먼저.. T7610 제품의 GPU 지원 영역은 600W가 최대입니다.
P100 이.. 300W 잡아먹고.. 이것이 2개.. 뭐 이것으로 풀 출력은 이미 불안한 상태이구요
거기에.. 그래픽 출력용으로 K4000 이라..
문제는 이것이고.. 이후 문제가 발생하는 요인들은 1차원인으로.. 파워출력이 문제가 생기니.. 이곳 저곳에서.. 난리가 나는게 당연할 것으로..
난리난 상태에서 로그분석으로 원인을 찾는다..
기본 상태에서 로그분석으로 문제발생시 원인을 찾을 수 있는 것이지.. 난리난 상태에서 무슨 분석이 제대로 나올런지요???
먼저.. 장비와 구성품의 충분조건에서.. 파악하심을 권해드립니다.
P100이 300W나 되는지 확인 못 했네요.
소비자가 사온거라 장착 인식 확인만 해서 보냈거든요...
문제는 t7610의 1300w파워는 vga쪽으로 최대 675w를 지원해 줍니다.
https://i.dell.com/sites/csdocuments/Business_smb_merchandizing_Documents/en/us/Dell_Precision_T7610_Spec_Sheet.pdf
p100 2개가 tdp 600w에 k4000은 tdp 80w인데 tdp이고 전력소모는 675w 초과할 겁니다.
결국 vga전원선으로 나가는 전력량을 줄이는게 관건이겠는데
1. k4000을 제거하고 보조전원을 쓰지 않는 저사양 그래픽을 장착해보는 것
2. 만약 지금 그래픽 3개가 전부 하단에 장착되어 있고 k4000이 8배속 슬롯에 장착되어 있다면
이것만 상단 16배속 75w(extended 225w라고 표기된) 슬롯으로 옮겨보는 것도 한 방법이겠네요.
델 pci 8배속은 공급되는 전력량이 16배속(75w지원)보다 작습니다.
잘 아시겠지만 파워는 여유 없으면 답이 안나옵니다..
그리고 아마 명령어로 딥러닝용 GPU는 전력 제한 가능할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