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텔 내장그래픽으로 저지연 영상 송출을 하고싶습니다

   조회 990   추천 0    

쪽팔리면 질문하지 맙시다. 소중한 답변 댓글을 삭제하는건 부끄러운 일 입니다 

요즘 개인적으로 ipmi/ip kvm을 만들어보고 있습니다.

서버는 linux vm이고, 인텔내장그래픽이 pass through 되어 있습니다.(vaapi 사용가능합니다)

hdmi capture board가 장착되어있어 yuyv, mjepg로 영상 신호를 받아옵니다.

그런데 처음부터 문제에 봉착했습니다. gstreamer로 h264/vp9 으로 tcp로 송출하는데, 720p에서도 latency가 3초-5초나 됩니다

도움을 요청드립니다 ㅠㅠ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rpki 2024-09
저도 IPKVM을 만드려고 이런저런 노력을 해봤는데도 저지연으로 하는건 거의 불가능하던것 같습니다...
송출/전송/디코딩에는 그렇게 많은 지연이 발생하지는 않았고 (이것도 하드웨어 도움 없이는 1-2초는 나오더라구요)
저의 경우에는 제일 문제는 캡쳐카드였습니다. 로컬로 캡쳐카드를 바로 봐도 몇초 차이가 나서..
전문적인 캡쳐카드 (PCIe 기반) 을 사용해야 IPKVM 정도의 레이턴시가 맞춰지는것 같습니다.
     
김치레인저 2024-09
mjepg로는 300ms 정도 지연이 발생하네요 ㅠ 그래서 인코딩 문제인가보다 생각하고 있습니다
구차니 2024-09
hdmi usb capture를 이용해서 모니터 대용으로 사용하고 있는데
vlc 등에서 mjpeg / 버퍼링 30ms 정도로 하면 크게 지연이 느껴지지 않게 사용이 가능합니다.
버퍼링이 짧을수록 끊어질 가능성이 높아지긴 하지만 3~5초 레이턴시라면 다른쪽 버퍼링을 의심해 보시는게 좋지 않을까 합니다.

근데 h.264/vp9이 먼가요? vp9은 코덱이지 컨테이너가 아닐텐데요..
     
김치레인저 2024-09
제가 영상쪽 지식이 전무해서요
yuyv를 h264/vp9으로 인코딩해서 webm으로 전송했다는 의미였습니다
제온프로 2024-09
하드웨어적으로 전문 칩이 필요한 상황이네요..
     
김치레인저 2024-09
그런게 있는지요? 인코더 칩이 있나요?
구차니 2024-09
사용하시는 hdmi capture는 어떤 장비인가요?
usb2.0 으로 되어있는 녀석은 yuv로 하면 FHD 에서 초당 5프레임 겨우 받는것 같더라구요.

캡쳐 장치에서 제공하는 압축 방식 그대로 전송하는게 레이턴시 측면에서는 가장 좋을 것이고
그 이후에는 하드웨어 인코더를 제공할 경우 제공하는 비디오 코덱으로 변환하는게 그나마 적은 레이턴시를 얻지 않을까 합니다.
gstermaer로 테스트 해보신다면 udp로 일단 테스트 해보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QnA
제목Page 75/5724
2015-12   1762752   백메가
2014-05   5237099   정은준1
2024-09   1466   narumir
2024-09   1056   항공모함
2024-09   1026   항공모함
2024-09   1113   Sakura24
2024-09   1158   이창준
2024-09   919   민경열
2024-09   884   chotws
2024-09   857   항공모함
2024-09   1085   I적우
2024-09   972   채대현
2024-09   1053   르랏
2024-09   2139   항공모함
2024-09   950   범이님
2024-09   594   안성현
2024-09   1617   일론머스크
2024-09   991   김치레인저
2024-09   1187   이문영
2024-09   1030   흥마
2024-09   1114   엠브리오
2024-09   1077   딥마인드